기사 (3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오대수’와 ‘금자’의 속마음을 정신분석학으로 헤아려 보다 자해와 살인. 듣기만 해도 충격적이고 자극적인 느낌의 단어들이다. 지금도 파격적인 해당 소재를 주제로 무려 2000년 초반에 개봉한 두 영화가 있다. 바로 박찬욱 감독의 영화 와 다. 극 중 인물이 각각의 범죄를 저지른 심리를 알아보고자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기자가 직접 두 영화를 비평해봤다. 눈이 아닌 혀를 뽑은 오이디푸스, 오대수 “친누나하고 난 다 알면서도 사랑했어요. 너희도 그럴 수 있을까?” 박찬욱 감독의 영화 등장인물 이우진이 딸과 사랑에 빠진 오대수에게 던진 도수를 맞춰드립니다 | 김유진 기자 | 2021-02-28 23:13 불안과 욕망으로 본 무의식의 세계 비평(批評). 사물의 옳고 그름, 아름다움과 추함 따위를 분석해 가치를 논함을 일컫습니다. 정의만 들으면 비평은 학문에 큰 뜻이 있는 전문가들만의 전유물일 것 같은데요. 여러분들도 얼마든지 비평가가 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비평, 정신분석학에서부터 같이 시작해볼까요?의식·무의식·전의식을 발현하는이드·자아·초자아작품은 인간 심리의 구조물텍스트 속 숨겨진 무의식을 찾는 법영화 은 인간의 무의식에 해당하는 꿈속 세계를 배경으로 주인공 ‘코브&rs 도수를 맞춰드립니다 | 김유진 기자 | 2021-02-28 23:13 주인공의 속마음,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예술작품을 볼 때마다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난해하게 본 작품이 대외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거나 재밌게 본 작품이 저평가받는 황당한 경우를 한 번쯤은 경험했을 텐데요. 예술작품을 마주할 때마다 시야가 흐릿해지는 분들을 위해 문화부가 작품을 보다 멀리 내다볼 수 있도록 맞춤 안경을 만들어드립니다. 이번 주는 안경의 도수를 정신분석학으로 맞춰 봤습니다. 함께 안경을 쓰고 작품을 보러 가봅시다! 사실 기반 작품 분석은 기본이론 위한 분석은 지양해야예술작품을 볼 때 보통 작품 속 인물의 표면적 행동과 대사에 집중하곤 한다. 그러 도수를 맞춰드립니다 | 이민경 기자 | 2021-02-28 23:13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