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총선, 완벽한 후보를 선택하고 싶지만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선거 공약집, 선관위 홈페이지, 포털 사이트까지 살펴봐도 다 비슷비슷하게 느껴진다. 이제 막 유권자가 된 학생들은 막막하기만 하다. 뭘 보고 투표해야 할지 몰라 막막해하는 학생들을 위해 관련 학과 교수님들께 조언을 구했다.

 

  공약 보고 지역 일꾼을 뽑아야

  지역구 의원은 국민의 대표임과 동시에 지역의 대표다. 따라서 공약을 보고 진짜 지역 일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창한 정당 정책을 내세우기보다 지역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후보를 뽑는 것이 좋다. 조성한 교수(공공인재학부)는 “꼼꼼히 살펴보면 당론이 아니라 진짜 지역 이야기를 하는 후보들도 있다. 그런 사람이라면 당적에 관계없이 표를 줘야 한다”고 말한다.

 

  정당을 보면 국가정책이 보인다

  정책만으로 투표 대상을 고르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후보마다 내세우는 공약이 비슷할 경우 진실성이 의심된다. 공약을 보고 국회의원을 뽑는다 한들 그 공약을 지킬지도 미지수다. 그럴 땐 후보자가 속한 정당의 성격을 보는 게 좋다. 소속 정당이 보수인지 진보인지, 도덕적인 정당인지 아닌지를 살펴보고 자신의 정치 성향에 맞게 투표해야 한다.

  물론 어떤 정당이 자신의 정치성향에 맞는지 판단하는 것도 간단한 일은 아니다. 지금까지 정치나 정당에 관심이 없었다면 다 비슷비슷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김동환 교수(공공인재학부)는 이명박 대통령을 중심으로 판단해 보라고 충고한다. “원래 정당 정치는 정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통령을 놓고 판단하면 된다”는 게 김동환 교수의 설명이다. 먼저 대통령의 행동이나 현 정권에서 추진한 정책들을 지지하는지 반대하는지 생각을 정리하고, 다음으로는 대통령을 지지하는 정당은 어디고 반대하는 정당은 어딘지 생각해보라는 것이다.

  정당의 과거 행적을 보면 정책의 진실성이 보인다. 이병훈 교수는 “정당의 뿌리와 지지기반을 파악해보라”며 “가령, 지지기반이 혜택 받은 소수라면 그 소수를 위한 정책을 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도덕성, 인생 스토리에 묻어나

  후보자의 이력을 보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도덕성이다. 후보자의 공약이 진실성 있는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라도 그가 살아온 인생을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여기저기 당을 옮겨 다니는 철새 정치인은 진정성을 의심해봐야 한다. 홍준현 교수(공공인재학부)는 “후보자가 사적 이익에 함몰돼 있지는 않은지 검토해봐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가 지금까지 해온 일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한다.

  ‘새 인물’이라고 깨끗함과 신선함을 기대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정치 신인 역시 다른 후보자들과 마찬가지로 이력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 어떻게 정계에 입문하게 됐는지도 살펴볼만한 요소다. 조성한 교수는 “정치 신인의 경우 과거에 어느 조직에서 일했고, 어떤 성과를 냈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한다.

 

  소수를 대변하는 전문가 필요

  비례대표 선출은 지역구 의원을 뽑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다. 지역구 의원을 선출할 땐 작은 정당 출신 후보에게 투표하면 사표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다보니 정당 크기와 인물을 보고 표를 던지는 경우가 많다. 비례대표는 다르다. 소수정당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인만큼 정당과 정책에 대한 선호도가 보다 중요하다. ‘군소정당이지만 이 정당이 국회에 살아남아 활동했으면 좋겠다’고 생각되는 정당에 표를 주면 된다. 최영진 교수(정치국제학과)는 “바람직한 국회의 구조를 먼저 그려보고 그에 맞춰 정당을 선택하라”고 조언한다. 여당과 야당이 각각 어느 정도의 의석을 가져가면 좋을지 고려해보라는 것이다.

  비례대표는 경제, 국제, 환경 등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정당의 정책 수립을 전문적으로 돕기 위함이다. 이 경우 후보자가 정말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지, 해당 분야에서 어떤 성과를 냈는지 알아보는 것이 좋다. 특정 직능이나 계층을 대표하는 경우도 있다. 각 정당에서 청년, 이주민, 비정규직 노동자 출신 후보들을 추천한 것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단순히 상징적으로 내세워진 인물이어서는 안 된다. 자신이 속한 계층을 대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후보인지 따져봐야 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