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을 맞이해 학생들이 선거와 관련해 얼마나 많은 정보를 알고 있는지 점검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강의실과 학교주변에서 랜덤방식으로 이뤄졌으며 173명의 중앙대 학생이 참여했다. 표본은 선거가능연령인 1993년 4월 12일 이전 출생자로 한정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선거일을 일주일 앞둔 4일부터 3일간 진행됐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중 76%(132명)의 학생이 4·11 총선에서 투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번 총선의 적극적 투표 의향층이 58.1%라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발표를 감안하면 비교적 높은 수치다.  
 

  그러나 총선에 대한 관심은 투표의지만큼 높지 못했다. 총선과 관련된 기본적인 사실도 모르는 학생이 많았다. 대한민국은 국회의원 선출 방식으로 1인 2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도입하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2표를 행사해야한다. 이 사실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학생은 전체 설문조사 대상자 중 38%(66명)에 불과했다.
 

  본인이 속한 지역구 정보에 어두운 학생도 상당수였다. 이번 선거와 관련해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알아봤다고 답한 학생은 34%(59명)였다. 자신이 속한 지역구의 명칭을 알고 있는 학생은 전체 조사 대상자 중 28%(50명)에 불과했고, 지역구 후보의 이름을 한명이라도 알고 있는 학생도 34%(60명)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변재영(신문방송학부 2)씨는 “투표를 꼭 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지역구 정보는 잘 몰랐다”며 “지방에서 올라와 서울에서 학교에 다니다보니 지역구 사정을 잘 모를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학업으로 바빠서 미처 선거에 관심을 두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이경희씨(유아교육과 3)는 “친구들이 다들 과제하느라 바빠 선거얘기를 전혀 안한다”며 “나도 투표는 반드시 할 생각이지만 아직 지역구에 대한 정보는 잘 모른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각 당의 20대 관련 주요공약에 대해서는 더 무관심 했다. 각 당의 주요공약을 알고 있다고 답한 학생이 9%(16명)에 불과했다. 한효은씨(사회학과 2)는 “정당의 정책, 후보의 정책들이 너무 어렵게 다가와 선거에 관심을 갖지 않는 친구들도 있다”고 말한다. 이현식씨(사회학과 3)도 “정당들이 선거 때 내놓는 정책들이 이벤트성이라고 여겨져 무관심하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총선에 대한 학생들의 무관심에 대해 조성한 교수(공공인재학부)는 “학생들을 탓하고 싶지는 않다”며 “학생들을 너무 많은 스펙으로 묶어놔 다른 데 관심 가질 여유가 없게 만든 기성세대의 잘못이다”라고 말했다. 이병훈 교수(사회학과)는 “입시교육이 학생들을 다그치고 대학 와서는 취업걱정으로 민주의식을 기를 기회가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며 “청년들이 각성해 표가 사회를 바꾼다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