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05호의 비판적인 사람들(critical+er=criticer)이 말하는 중요한(critical) 이야기! 이공오의 크리티컬은 사회 곳곳의 다양한 이야기를 다채로운 시선으로 주목합니다. 이번 이공오의 크리티컬이 주목한 이야기는 바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입니다. 시민 대다수가 반대하는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8월 24일 후쿠시마에서 오염수가 방류됐는데요. 방류 후 많은 이들이 우려하는 바가 무엇인지, 이러한 우려가 생기기까지 한국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어땠는지 차근차근 이공오와 함께 알아봅시다. 봉정현 기자 goopa@cauon.net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약 134만톤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오염수)가 쌓여있다. 올해 3월 한일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논의가 본격적으로 도마에 올랐다. 한국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검사 기준을 내세우며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을 주장했다. 정부의 설득에도 다수의 시민은 오염수 방류에 반대했다. 그러나 정부는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없이 오염수 방류에 동조했다. 결국 8월 24일 도쿄전력은 원전에 보관하던 오염수를 태평양으로 방류했다. 정부는 방류 이후에도 여전히 과학적 근거를 들며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을 강조하고 있다. 정말 시민의 우려는 기우일까. 오염수 방류로 생긴 시민의 우려를 자세히 들여다봤다. 

방류 후 우리의 바다는 

 도쿄전력은 17일간 약 7800톤의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방류했다. 실제로 오염수 방류 이후 바다 생태계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8월 발표한 한국갤럽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73%의 시민은 후쿠시마 방류로 해양·수산물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김영환 환경보건시민센터 연구위원은 “후쿠시마와 같은 방식으로 바다에 오염수를 버린 적이 없었다”며 “정확한 영향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박덕신 인천자망협회장은 “기준치 이하의 양이라도 지속적으로 오염수를 배출하면 생태계에 축적될 것”이라고 염려했다. 

오염수 방류로 인한 해양 오염과 관련해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렸다. 정범진 교수(경희대 원자력공학과)는 “오염수 배출 기준을 정할 때 이미 생태적 영향을 다 고려했기 때문에 배출기준만 준수한다면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당장 오염수로 인해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진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방사능이 축적되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예상했다.  

해양 오염에 대한 논란은 수산업 종사자의 경제적 피해와 이어진다. 실제로 오염수 방류 후 일부 어민과 상인은 방류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호소했다. 강미영씨(58·어민)는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가격이 떨어져 피해가 크다”고 털어놨다. A씨(52·횟집사장)도 “계절적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회가 예년에 절반 정도밖에 팔리지 않는다”며 “방류 시작 후 매출이 30% 정도 줄었다”고 토로했다. 

기준치 이하면 되는가 


 오염수는 방류 전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치며 방사성 물질이 거의 제거된다. 하지만 삼중수소는 제거되지 않는다. 이는 삼중수소가 물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염수의 삼중수소는 방류 기준을 만족할 때까지 희석된다. 이런 삼중수소의 존재가 국민의 우려를 야기한다. B씨(40·교사)는 “과학적인 기준치가 있어도 최대한 방사선이 없는 것이 좋기 때문에 노출량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방사선 노출 기준에 대한 전문가의 입장도 상이했다. 정범진 교수는 “잠재적 영향까지 고려한 기준이기 때문에 국가는 해당 기준만 준수하면 된다”고 말했다. 반면 유인권 교수(부산대 물리학과)는 “규제치를 넘어가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방사선이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모르니 가능한 최소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어느덧 오염수 방류 후 한 달이 지났다. 하지만 여전히 오염수에 관한 우려는 식지 않고 있다. 여전히 전문가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기 때문이다. 정부는 과학적 근거로 시민을 설득하기보다 시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해야 한다.

사진 봉정현 기자
사진 봉정현 기자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