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 평생교육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학위수여 차별둬야
교육부 평단사업엔 반대해
재정 확충위한 수단될 수 있어

대학가를 뜨겁게 달군 이화여대 사태는 교육부의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평단사업)’으로부터 비롯됐다. 100세 시대, 평생교육을 목적으로 시행된 평단사업. 학생들은 평단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342명의 중앙인을 대상으로 평단사업과 이화여대 사태에 대해 질문했다.평생교육의 취지는 좋지만…중앙인은 평생교육에 대해 엇갈린 시선을 갖고 있었다. 평생교육이 4년제 대학에서 이뤄지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 의견이 각각 절반으로 갈렸다. 찬성 의견은 약 49%(167명), 반대 의견은 약 45.4%(155명)로 집계됐다. 
 
  4년제 대학에서 평생교육이 이뤄지는 것에 찬성한 응답자는 학위 수여 여부에 관해선 입장이 달랐다. 4년제에서 이뤄지는 평생교육에 찬성의 뜻을 내비친 167명의 응답자 중 약 52.7%(88명)는 교육과정 이수 후에 학위를 수여하는 데 동의했다. 기타의견인 약 3.6%(6명)를 제외한 나머지 약 43.7%(73명)의 응답자는 학위 수여에 반대했다. 교육을 받는 것은 좋지만 학위를 수여받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한 것이다. 백승혜 학생(광고홍보학과 2)은 “교육 과정을 모두 이수했으면 학위를 수여받는 것은 당연하다”며 “하지만 일반 학생들과 같을 필요는 없지만 어느 정도 납득할 만한 수준의 모집방식을 거칠 때에 한해서다”고 말했다.
 
  평단사업 신뢰하지 않아
  응답자 중 대부분은 평단사업에는 반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응답자 중 약 66%(228명)가 평단사업을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힌 것이다. 이는 앞서 평생교육이 4년제에서 이뤄지는 것 자체를 반대하는 학생 155명을 포함해 평단사업의 취지는 동의하지만 지금처럼 학위를 주는 것엔 반대하는 학생 73명을 합친 결과다.
 
  학생들이 평단사업을 반대하는 이유(중복응답 포함)는 평생교육자와 일반 학생이 같은 학위를 수여받는다는 점 때문이다. 전체 응답자에서 평단사업에 동의하는 이(평생교육 및 학위수여 찬성자 88명)를 제외한 236명 중 약 58.9%(139명)는 평생교육자와 일반 학생이 같은 학위를 수여받으면 안 된다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익명의 학생은 “일반 학생이 입학을 위해 노력한 만큼 평생교육자들도 노력해야 4년제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평단사업이 본래의 취지를 벗어나 대학의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약 57.2% (135명)로 그 뒤를 이었다. 장혜원 학생(역사학과 2)은 “대학은 사업에 선정되면 받게 되는 재정지원금과 입학자에게 추가로 징수하는 등록금으로 수익이 발생한다”며 “이처럼 평단사업은 대학에게는 재정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약 47.5%(112명)의 학생들은 평단사업과 비슷한 취지의 평생교육제도가 이미 존재한다는 점도 평단사업에 반대하는 이유로 꼽았다.
 
  평단사업으로 개설된 단대의 학문적 성격을 문제 삼은 학생도 있었다. 장혜원 학생은 “이화여대의 경우 미디어산업전공과 웰니스산업 전공 같이 산업 위주의 학문이 문제가 됐다”며 “평단사업이 대학의 교육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종사하고 있는 산업에 대한 학위를 주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평단사업은 집중이수제, 야간·주말반 등의 교육방식이 적용돼 일반 학생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그렇다면 중앙인은 평생교육자도 일반 학생과 같은 방식으로 교육받고 같은 커리큘럼을 밟으면 학위를 수여받을 수 있다고 생각할까. 약 60%(141명)의 학생들은 이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다. 박한솔 학생(경영학과 1)은 “교육방식과 커리큘럼이 동일하다 해도 모집방식이 다르면 학위를 수여해선 안 된다”며 “입학 절차상의 형평성이 우선적으로 확보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대 투입된 공권력엔 부정적
  한편 평단사업과 별개로 이화여대 사태의 갈등을 증폭시켰던 공권력 투입엔 부정적인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전체 응답자 중 약 88.9%(304명)의 학생들이 부정적인 시선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 중 약 50.3%(172명)의 학생들은 학생과 대학본부의 갈등에 공권력이 투입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봤다. 반면에 약 2.3%(8명)의 기타의견을 제외하고 약 8.8%(30명)의 응답자는 학생들만이 ‘학교에 공권력이 투입될 수 있고 이대에 투입된 공권력도 적절한 대응이다’고 답했다. 임예진 학생(역사학과 2)은 “학생들이 반발한다고 해서 경찰 권력을 투입한다는 것은 대학본부가 학생들과 소통할 의지가 없다는 것을 방증한다”며 “시위가 평화적으로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천 명이 넘는 경찰을 투입한 것은 부당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