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재임 첫해 이명박 서울시장은 재정비촉진사업의 목적으로 ‘뉴타운 사업’을 발표했다. 뉴타운 사업은 기존의 민간주도식 재개발에서 벗어나 공공투자를 확대한 재개발 방식이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시작한 뉴타운 사업은 이후 오세훈 서울시장에게로, 그리고 현재 박원순 서울시장으로 이어져 어언 10년간 서울시가 풀어야 할 핵심 ‘난제’로 자리 잡았다.

  뉴타운 사업은 본래 서울시의 고질적인 강북-강남 간의 지역 차와 주택수준의 차이를 좁히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뉴타운 사업은 시행 첫해 강북의 은평구, 성북구, 성동구 등 3곳을 시범구역으로 지정하면서 궤도에 올랐다. 이듬해 총 12곳이 2차 뉴타운 지구로 지정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다. 문제는 뉴타운 사업이 정치권의 ‘표몰이 수단’으로 이용됐다는 데 있다. 표몰이를 위해 뉴타운을 과다 지정하면서 뉴타운 지구 원주민에 대한 주거 대책이 미흡해졌다. 결국 원주민의 재정착률은 낮은 수준에 머무르게 됐다. 더욱이 재개발로 인한 집값 폭등과 전세 대란 등 속도 조절에 실패한 뉴타운 정책에서 비롯된 문제들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에 재작년 당선된 박원순 서울시장은 뉴타운 사업의 실태조사와 함께 사업 수습에 나서는 출구대책의 단계를 밟아가는 중이다.

  중앙대 부지가 속해 있는 동작구 흑석동은 2005년 3차 뉴타운 지구에 포함되면서 뉴타운 영향권에 들게 됐다. 뉴타운 사업에 따라 흑석동 84-10번지 일대가 총 11개의 사업촉진구역과 1개의 존치관리구역으로 구분됐다. 현재까지 센트레빌 2차 아파트가 입주해 있는 흑석6구역을 비롯해 4구역, 5구역의 준공이 완료된 상태다.

  흑석동 뉴타운 사업은 중앙대 부지를 둘러싼 구역을 포함하고 있다. 은로초등학교와 중앙사대부속초등학교 사이에 위치한 흑석8구역과 중앙대 정문과 중문 일대를 포괄하는 존치관리1구역 등이 그것이다. 특히 존치관리1구역의 경우 중앙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부지다. 학생들의 자취방이 빼곡히 몰려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흑석6구역에 재개발 사업이 착공되면서 수많은 학생들이 자취방을 옮겨야 했던 것에 비추어 재개발은 학생들의 주거와 긴밀한 관계에 있다. 흑석동이 뉴타운 사업에 포함된 이후 집값이 상승하면서 학생들이 부담해야 하는 월세도 함께 뛰어오른 것 역시 비슷한 맥락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