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년 11월 말레이시아의 수도 콸라룸푸르에서는 두가지 정상회담이 열렸다. 하나는 11월 10일부터 6일간 진ㅎㅇ된 컁틱첸팍쩽贄濚适杉潤?APPA)是見? 다른한나는 11월 14일 각료회담으로 시작하여 14일부터 16일까지 기업인회의를 거쳐, 17일과 18일로 이어지는 컁틱첸팍쩽贄怜姸┎苾쩠셉?APEC)정상회담是?그 것이다.

아펙(APEC) 정상회담은 무역과 투자자유화를ㄹ 위한 경제적 지역협력체로, 이 지역에서
2010년, 개발도상국은 2020년까지 자유무역의 시행을 목표로하고 있다. 이에 대항하여 민중
정상회담은 컥愍?タぐ?자유시장媤맛?강조하는 경제지도자들의 모임인 아펙에 반대하며 노
동자, 환경, 인권, 여성, 원주민, 농민, 빈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구화가 민중들에게 미치는
영향들을 폭로하고 감시하며 민중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민중들의 정상회담인 셈이다.

이번 민중대회에는 아시아-테평양지역 25개국에서 7백여명의 활동가들과 비정부기구 대표
들, 그리고 관련 분야의 교수, 학자들이 참여하였고, 한국에서도 민주노총, 전농, 민변, 참여
연대, 국제연대정책정보센터, 한노정연 등의 단체에서 약 15명의 참가자들이 노동, 민영화와
탈규제, 금융탈규제, 인권 등의 다양한 포럼에 결합하였다.

10일 개막식에 이어 11, 12일 양일에 걸쳐 콸라룸푸르 시내에서 약 10여개의 포럼이 동시
에 진행되었다. 노동, 인권, 민영화와 금융탈규제, 원주민, 환경, 여성, 식량안보와 농업, 이주
노동자, 교육, 미-일의 군국화 등의 주제를 포괄하고 있다.

각 포럼은 주제발제, 분야별 발제를 하고, 세분화된 워크샵으로 나뉘어 토론시간을 갖고,
공동의 행동지침을 논의한 후 행동결의를 내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양일간의 토론을 마친
후에는 13, 14일 전체회의를 통해 각 포럼의 토론결과를 발표하고, 이에 대해 전체토론을 거
쳐 민중회담의 전체 결의문을 내오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캣恝된??금융의 탈규제施?관한 포럼에서는 보건의료, 교육부문의 민영화와 초국적 금융
자본에 대한 대안모색, 민영화와 금융의 탈규제 시대에 시민사회와 국가의 역할에 대한 발
제와 토론이 이루어졌고, 참석자들은 보건의료, 교육, 공공서비스를 민영화하고, 나아가서 지
배, 통제하려는 국제적 자본의 어떠한 시도에도 저항할 것임을 결의하였다.

둘짼날 있었던 금융규제, 시민사회와 국가의 역할, IMF 지배와 민중들의 대응에 대한 토론
은 주체 자체의 무거움으로 워크샵 토론을 통해 사실상 공동의 의견을 모야내기는 많은 어
려움이 있었으며 IMF와 민중들의 대응부분에서는 한국, 멕시코, 태국의 사례가 발표되었다.
도시빈민 포럼의 경우 50명의 참가자들이 무담점거 지역인 추바닥 마을을 방문하였다가 이
를 저지하며 참석자 명단을 빼앗으려고 하는 경찰과 대치하기도 했다.

이들은 또한 92년에 투옥된 동티모르의 지도자인 크사나 구스마오의 석방 캠페인을 벌이기
도 했다.
총회 둘째날인 14일 현재, 각 포럼의 결의문을 모아 아펙에 대항하는 민중회의 결의문 초
안을 토론하였으며, 마지막 날인 15일에는 오전 11시 아펙회의가 진행되고 있는 콸라품푸르
KLCC(Kuala Lumpur Cultural Center)빌딩 앞에서 컨仄맬??반대하여 민중권리를 되찾자?
는 주제 이래 참석자들을 중심으로 집회를 가졌다.

한편에서는 아카데믹한 분위기와, 시내 호텔에서 회의가 진행되어 연일 시위가 벌어지는
콸라룸푸르에서도 이와같은 실상을 직접적으로 접할 기회나 다양한 행동프로그램들이 부족
하고, 민중들의 실상을 접할 기회가 적었다고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개최국의 상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이번 민중대회는 교수, 학자, 정부 관련 인사 등으로
참여영역이 확대되고 각 부문에서 전문적인 의견과 경험들을 교류할 수 있는 장이었음에는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저항의 힘을 실천적으로 보여주지 못한 것은 말레이시아의 진보진영이
독재에 맞선 캣适鹿와 캅냘鰍투쟁이 아직은 본궤도에 오르지 못한데서 오는 한계때문일 것이
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