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개 대학 QS 대학평가 보이콧 
지표 변경에 순위 100단계 하락

지난 6월 25일 중앙대를 포함한 전국 52개의 대학이 QS 세계대학평가(QS 대학평가)의 지표와 방법론이 불공정하다며 평가 보이콧을 선언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현재 시행 중인 대학평가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도마 오른 QS 대학평가 
  2004년부터 시행된 QS 대학평가는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가 6개의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매년 발표하는 전 세계 대학 순위다. 올해 QS는 평가 시행 20주년을 맞이해 IRN(국제 연구 네트워크)·졸업생 성과·지속가능성의 3가지 평가 지표를 추가해 9개의 지표로 대학을 평가했다. 

  그 결과 중앙대·한국외대·이화여대 등 국내 대학들의 순위가 약 100단계 급락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해당 평가 지표가 발표되자 국내 52개 대학과 한국대학랭킹포럼은 이의를 제기하며 QS 대학평가 보이콧을 선언했다. 

  가장 크게 논란이 된 항목은 IRN 지표다. IRN은 각 대학이 국제적으로 얼마나 많은 국가·기관과 연구 파트너십을 구축·유지하는지를 평가한다. IRN 점수는 연구 협력 국가 수를 해외 파트너 연구 기관 수로 나눠 계산한다. 이에 대해 이현경 평가팀장은 “연구 협력이 가능한 국가를 늘리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양질의 공동 연구가 가능한 국가 수가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공동 연구 기관의 수를 줄여야만 점수가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졸업생 성과와 지속가능성 지표에도 문제가 제기됐다. 졸업생 성과에 대해 김성환 경희대 학술진흥팀장은 “졸업생 성과는 대외적으로 저명한 리스트에 오른 동문을 기준으로 계산한다”며 “QS가 가진 리스트가 비공개돼 있어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지속가능성 지표에 관해 음선필 홍익대 기획처장(법학과 교수)은 “지속가능성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평가 기관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호 고려대 평가팀 부장은 “지속가능성 지표가 대학 간의 협력과 NGO·정부 기관과의 협력을 장려한다는 점에서는 합리적”이라면서도 “다만 각 대학이 지닌 특수성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는 점이 아쉽다”고 덧붙였다.  

  언론사 대학평가는 괜찮나 
  국내에서는 중앙일보가 매년 대학평가를 발표하고 있다.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종합평가와 계열평가, 교육중심대학평가로 구분된다. 종합평가는 전국 52개 대학을 순수취업률 등 33개의 지표로 측정한다. 계열평가는 인문·사회·자연과학·공학 4가지 계열별로 평가를 진행한다. 이에 대해 이현경 팀장은 “매년 평가 지표를 검토한 의견을 중앙일보 평가팀에 제출해 지표의 불합리한 부분이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경우 정부나 평가 전문 기관이 아닌 언론사에서 시행하는 대학평가이기에 신뢰도와 타당성에 관한 주의가 요구되기도 한다. 음선필 처장은 “평가 지표가 대체로 합리적이지만 평판도 지표의 경우 현재 대학의 모습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과거로부터 축적된 대학의 사회적 평판을 측정하기 때문에 대학의 현황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학평가 전문 A교수는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외부 평가 업체에 대학평가를 위탁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전했다. 

  타당한 평가 위해 신중 기해야 
  대학평가 결과는 대학 사회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김성환 팀장은 “대학평가 결과가 국내·외 학생의 진학 대학 선택에 주요 요소로 작용한다”며 “대학 간 국제교류 대상 대학 선정에도 영향력이 크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정지웅 학생(의학부 1)은 “중앙대의 대학평가 순위 상승이 대학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며 “대학평가 결과를 통해 대학의 역량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B학생(수학과 3) 역시 “대학 순위에 따라 대학을 단편적으로 평가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한 각 대학은 대학평가 결과를 반영해 대학의 운영 방안을 개선하고 있다. 이정호 부장은 “대학평가 결과를 교내 부서와 공유하고 있다”며 “대학이 발전하는 계기로 삼고자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이현경 팀장은 “중앙대는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전임교원 추가 채용 ▲연구성과 증대를 위한 제도 마련 ▲교육비 투자 증액 등 여러 노력을 기하고 있다”며 “대학이 운영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은 대학평가의 순기능”이라고 말했다. 

  대학평가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도 공유됐다. 음선필 처장은 “대학평가는 대학발전 계획 수립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며 “불완전하고 오해의 여지가 있는 대학평가 지표가 대학 자원의 배분을 왜곡하는 등 대학에 큰 피해를 끼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성환 팀장은 “대학평가로 대학의 강·약점을 분석해 대학 운영 전략에 반영한다”고 말했다.  

  대학평가가 순기능을 다해 대학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표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때다. 대학평가가 대학 운영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대학평가 주체는 지표 선정과 결과 발표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