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수 극지방 여행전문가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북극 여행을 하면서 10차례가량 이누이트족을 방문해 고래 사냥터에서 함께 생활했다. 그가 북쪽 끝에서 겪은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이누이트족의 삶을 가까이 들여다봤다.

김완수 극지방 여행전문가는 이누이트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그들의 전통과 기후 위기에 직면한 현실을 조명했다. 사진제공 김완수
김완수 극지방 여행전문가는 이누이트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그들의 전통과 기후 위기에 직면한 현실을 조명했다. 사진제공 김완수

 

  -고래사냥에 나타나는 자연관은.
  “이누이트족은 고래가 잡히면 그들이 잡았다고 생각하지 않고 고래가 그들에게 잡혀준 것이라고 여기죠. 그래서 고래 고기를 주변의 자연과 함께 나눠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누이트족과 고래사냥을 갔을 때 고래 부위 중 가장 값비싼 ‘마탁’ 부위를 새 먹이로 주더라고요. 맛있는 것을 함께 나눠 먹는다는 마음으로 새들에게 준다고 해요.”

  -색다른 음식을 경험했다고.
  “고래사냥을 나가 텐트를 치고 잠시 쉬면서 빙하를 끓여 만든 커피를 마시곤 했죠. 특별한 맛은 아니었지 만, 수천 년 된 빙하를 녹여 마시니 색다른 기분이 들었어요. 한 번은 이누이트 집에 가서 후식을 먹는데 아 이스 캔디라는 것을 권하더라고요. 사슴 피와 고기, 설탕을 비닐에 싸서 얼린 것이었습니다. 고기 냄새가 나긴 했지만 독특한 경험이었어요.”

  -이누이트족과 생활하면서 느낀 점은.
  “과거 바이칼 호수에서 살던 인류가 빙하기가 찾아 오자 남쪽과 동쪽으로 흩어졌습니다. 이때 남쪽으로 간 인류가 중국, 한국 등에 정착했고 동쪽으로 베링해를 넘어 정착한 이들이 이누이트족인데요. 우리와 뿌리가 같아서인지 이누이트족은 그린란드, 캐나다 등 먼 곳에 거주하고 있음에도 한국과 문화가 유사해요. 우리처럼 아기를 업고 다니기도 하고 조상을 상당히 잘 섬깁니다. 이렇게 유사점이 많다 보니 함께 생활하면서 이누이트족이 동네 아저씨나 이웃사촌처럼 가깝게 느껴졌어요.”

  -기후 문제로 전통이 어떻게 변했는지.
  “기온이 높아지면서 이누이트족의 전통가옥인 이글루는 다 녹아버렸죠. 멀리 사냥을 갈 때면 이동 중간에 휴식을 위한 이글루를 지었는데 지금은 이글루 대신 천막이나 텐트를 치고 있습니다. 또한 동토가 다 녹으면서 땅은 질척해지고 순록과 같은 사냥감들은 다 도망갔어요. 이 때문에 사냥을 하는 그들의 전통문화도 사라지고 있습니다. 또한 시신을 묻어둔 동토도 녹으면서 무덤도 쓸려가고 있어요. 지구 온난화의 문제가 이누이트족에게 억울하게 돌아가는 거죠.”

  -미세 플라스틱이 상당한 피해를 준다고.
  “5m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인 미세 플라스틱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누이트족 여성의 모유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기도 했죠. 우리가 배출한 미세 플라스틱과 플라스틱 가공 쓰레기들이 바다를 돌고 그 플라스틱을 해양 생물이 먹는 겁니다. 그 생물을 이누이트족이 사냥해서 먹죠. 이누이트족이 배출한 플라스틱이 아닌데 그들이 피해를 본다는게 상당히 억울하고 심각한 문제죠.”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