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일 제8대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진다. 10일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지역별 자치단체도 새로 꾸려질 채비를 하고 있다. 정당별 후보자 공천도 갈무리돼 후보자들의 유세가 한창이다. 그러나 사회 속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대표할 후보자는 부족하다.

  지방선거 출마 후보자는 특정 성별과 연령대에 편중됐다. 후보자 가운데 여성 비율은 약 27.5%로 10명 중 3명도 채 되지 않는 비율이다. 지난 제7대 지방선거보다 약 2.3%p 증가했지만,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 평균 연령 또한 약 54세로, 특히 기초단체장 후보자는 평균 60세로 나타났다. 다양한 세대의 이야기를 수렴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청년의 정치 참여는 느슨해진 정치계에 긴장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제1야당은 청년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위해 청년 공천 배당률을 20%로 설정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조차 지켜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여전히 정치 영역에서 청년이 설 자리는 많지 않다.

  정치계 성별 불균형 문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12일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는 정치에서의 성별 불균형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특정 성별이 전체의 10분의 6을 초과하지 않을 것을 언급했다. 더불어 인권위는 광역·기초자치단체장은 후보 공천을 할 때 발생하는 불균형한 성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마땅한 규정이 없다고 말했다.

  단순히 여성 혹은 청년 후보자만이 필요한 건 아니다. 다만 경험하지 않고선 문제 인식과 해결이 어려운 일도 많다. ‘50대 80년대 학번 60년대생’ 남성만으론 한국 사회의 각종 부조리를 해결할 수 없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