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혐오다. 그리고 차별이다. 9월 30일 대학별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 서울캠 성평등위원회(성평위) 폐지를 주장하는 연서명이 게시됐다. 학생 300인 이상의 연서명을 받아 8일에 열리는 서울캠 확대운영위원회에 안건으로 상정하겠다는 것이다. ▲학생자치예산 독식 ▲남녀갈등 조장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기구 등을 폐지 사유로 제시하며 성평위 폐지는 대학 내 성평등 문화에 대한 부정, 반대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성평위 폐지는 대학 내 성평등 문화를 향한 ‘부정’과 ‘반대’다. 

  성평위 관련 예산은 결코 특정 대상으로 집행되지 않는다. 성평위는 현재 젠더 늬우스, 세미나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성평등 의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또한 총학생회(총학)를 비롯한 학생자치 기구, 학생대표자를 대상으로 성평등 교육을 담당한다. 성폭력 피해 사례를 돕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한다. 성평위가 특정 대상을 위해 활동한다는 주장은 한쪽만 바라본 결과이며 잘못된 비약이다. 

  남녀갈등은 성평위 때문이 아니다. 기득권의 혐오 발언이 그 원인이다. 심심치 않게 여성혐오 발언을 일삼고, 성적 농담을 던진다. 또한 평등을 향한 행동을 잘못된 프레임을 통해 비난하고 왜곡한다, 그런데도 성평위가 남녀갈등의 원인인가. 또한 남녀갈등 조장뿐만 아니라 성소수자를 향한 차별적 언행은 누가 하는가. 이런 행위에 침묵하는 이도 그들과 다를 게 없다. 아직도 학내에 혐오와 차별은 만연하다. 그러므로 성평위가 혐오와 차별에 싸울 수 있도록, 성소수자와 동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018년 대한민국을 휩쓴  ‘Me Too(미투)’ 운동. 중앙대도 예외는 아니었다. 교수, 강사, 학생 등 여러 주체에서 저지른 성폭력의 어두운 모습이 드러났다. 당시 성평위는 그 누구보다 세심하게 성폭력 피해자를 도왔고 2차 가해 방지를 위해 노력했다. 또한 성폭력 가해자 규탄 집회와 활동을 통해 문제 의식을 제고했고 대학본부에 징계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성폭력 피해자들은 용기 내서 목소리를 낼 수 있었고 더욱 성평등한 대학 문화를 조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도 정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기구인가. 

  지난해 사퇴로 이어진 제62대 서울캠 ‘syn-’ 부총학생회장의 성희롱 사건도 폐지하면 안 되는 이유다. 여기에 더해 syn- 총학에서는 피해자를 향한 2차 가해가 있었고 이는 곧 성폭력 문제를 방관했다는 걸 의미한다. 성평등 문화를 조성해야 할 학생자치의 최고기구인 총학에서도 왜곡된 성의식을 기반으로 성폭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아직 학내 성폭력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성평위 기능 확대를 통해 학생자치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을 근절해야 한다. 

  성평위 폐지는 성평등을 위한 목소리를 묵살한다. 성평등한 사회를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혐오’와 ‘차별’의 길로 들어설 텐가. 지금은 성평위 폐지가 아니라 성평등한 대학 문화 조성을 위한 성평위 발전 방향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혐오와 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