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협 총장 불신임 뜻 밝혀
법인에게 ‘지원 하되 지배하지마라’
학내서 총장 선출제 논의 나오기도


총장 ‘연임 문제 없다’
학내 구성원 원한다면
민주적 철차 따라 논의 가능

 

지난해 말 연달아 충돌을 빚어왔던 대학본부와 교수협의회(교협)의 대립은 방학 동안 소강상태를 보였다. 그러나 방학 기간 중에도 지속적으로 성명서를 발표해온 교협은 개강과 함께 총장 선출제 논의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개강에 앞서 미처 지면에 다루지 못했던 대학본부와 교협의 소식들을 정리해봤다.

  교협은 지난해 12월 4일부터 10일까지 ‘총장 신임·불신임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에 앞서 교협은 투표권을 가진 교수들에게 ▲교수 신분 안정화 ▲건축 부채와 법인 전입금 문제 해결 ▲대학본부 행정 자의성 감독 ▲행정 실패에 대한 책임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연구 등 7가지 해결과제를 신임·불신임 결정의 기준으로 제시했다.

  교협은 전체 전임교수 1044명(2017 대학알리미 정보 공시 기준) 중 교협 회비를 계속 납부하는 821명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했다. 그중 495명이 참여한 투표 결과 약 76.77%(380명)가 총장 불신임을 표명했다. 투표에는 적절한 총장 선출방법의 선호를 묻는 문항도 포함됐다. 교협은 투표자 중 가장 많은 약 58.58%(290명)가 ‘학교 구성원에 의한 직접선거’라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약 34.34%(170명)는 간접선거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교협은 선거 종료 다음날인 12월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투표 결과에 따라 법인은 민주적 총장 선출제에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학본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교협의 기자회견 내용 중 사실과 다른 점이 있다고 밝혔다. 기자회견 중 한 기자가 ‘불신임에 동의한 380명은 전체 전임교원 1044명의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교협은 현장에서 “대학본부가 정확한 전임교원 현황을 주지 않아 교협 회원 자격이 있는 교수를 모두 900명으로 추산했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이에 대학본부는 “지난해 2월 6일 교무처장이 당시 교협 회장이었던 이강석 교수(생명과학과)에게 이메일로 전체 교수명단을 전달한 사실이 있다”고 반박했다. 이강석 교수는 “총장 신임·불신임 투표가 진행된 것은 지난해 12월인데 대학본부에서 전달했다고 주장하는 자료는 10개월 전인 2월에 전달한 것이라 시의성에 맞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한 “해당 자료는 교수 소속도 분류돼 있지 않아 요구했던 ‘전임교원 현황 파악’에도 적합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교협의 신임·불신임 투표에도 불구하고 같은달 13일 이사회는 김창수 총장의 임기를 오는 2020년까지 연임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반발해 교협은 같은달 15일 201관(본관) 앞에서 사과대·인문대 학생회,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상임의장 등과 집결해 삭발 농성을 진행했다.

  방효원 교협회장(의학부 교수)의 삭발식을 진행한 뒤 이들은 본관 3층 총장실로 이동해 총장 및 상임이사와의 대화를 요구했으나 총장실 진입을 거부당했다. 방효원 교협회장은 “더 이상 학문의 전당인 대학에서 갑질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지원은 하되 지배는 하지 않도록 법인이 제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더불어 교협은 같은달 16일 열린 故 백남기 동문 명예학사학위 수여식에 참석한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에게 문제 상황을 전달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당시 대외협력처장이었던 장재옥 교수(법학전문대학원)가 ‘내부 문제를 외부 인사가 찾아오는 행사 장소에서까지 밝힐 이유가 있느냐’고 항의하면서 언쟁이 일기도 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26일 진행된 신년기자간담회에서 김창수 총장은 연임에 문제가 없음을 표명했다. 김창수 총장은 “이번 결정은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정관」, 「중앙대학교 학칙」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문제없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총장 선출제 개선에 대한 논의 가능성도 언급했다. 김창수 총장은 “총장 임명제가 반드시 최선은 아니다”면서 “학내 구성원이 원한다면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 총장 선출제를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학내 구성원들은 잇따라 성명서를 통해 총장 선출제에 관한 논의를 시작할 것을 촉구했다. 같은달 28일 학생 대표자로 구성된 서울캠 중앙운영위원회는 “진정한 대학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초석은 대학의 대표 선출 과정에 학내 주체가 합당한 절차로 참여하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날 대학평의원회는 “총장 선출은 당연히 구성원들의 의사를 반영해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서를 게재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말 이후 지금까지 발전적인 논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교협 고문직을 역임하고 있는 이강석 교수는 “김창수 총장의 기자 간담회 이후 지금까지 상황이 달라지지 않았다”며 “여전히 민주적인 총장 선출제를 원한다는 점에서 교협의 입장은 변함없다”고 밝혔다. 또한 “법인에 해임 절차를 요구했지만 아무런 답변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