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업적평가에 새로운 기준 제시
정년보장심사, 심사 기준 구체화
 
지난달 29일 전체 학과장회의가 진행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교원업적평가 제도와 정년보장심사 제도의 개선 방안이 주로 논의됐다. 이는 그동안 해당 제도들에 대한 교원들의 민원이 반영된 결과다.
 
  대학본부는 교원업적평가 제도 개선의 목적으로 ▲교원의 요구 반영 ▲합리적인 평가를 위한 기준 조정 ▲대외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을 들었다. 지난 2013년 교원업적평가 제도 개편 당시 일부 교수들은 개편된 기준이 양적 기준만을 제시해 연구의 질적 저하가 초래될 것이라고 우려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학과장 회의에선 교원의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평가의 형평성 및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이 논의됐다.
 
  대외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평가 기준도 제시됐다. 국제공동연구 논문 우대와 재정지원사업 참여에 대한 가점이 주요 골자다. 이에 대해 김창일 교무처장(전자전기공학부 교수)은 “교원들이 업적평가를 준비하다 보니 재정사업 참여율이 저조하다”며 “이번 개정을 통해 재정사업 참여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학본부는 교원업적평가에 Citation, IF와 같은 피인용지수에 대한 반영도 추가할 계획이다. 김창일 교무처장은 “피인용지수를 평가 항목에 추가함으로써 논문의 질을 향상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개선된 교원업적평가 제도는 다음달 셋째 주부터 단대별 의견 수렴을 진행할 예정이며 업적평가위원회, 대학운영위원회 등을 거쳐 다음해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학과장회의에선 정년보장심사 제도 개선안도 논의됐다. 교수협의회 측은 정년보장심사 결과에 대한 예측 불가능과 ‘정년보장심사위원회’와 ‘Peer Review(동료평가제)’의 불투명성에 대해 문제제기한 바 있다. 심사 결과의 예측 불가능성에 문제제기는 일부 개선될 전망이나 Peer Review 평가자 공개의 가능성은 희박하다.
 
  대학본부는 정년보장심사의 합격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심사의 공정성을 제고하고자 한다는 입장이다. 대학본부가 구체화한 기준으로는 ▲연구 실적 ▲연구 수준 ▲교육 업적 ▲학내 기여 등이 있다.
 
  반면에 교협이 요구한  Peer Review 평가 결과 공개는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김창일 교무처장은 “Peer Review의 경우 아직 국내 정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이에 대해 교원들의 신뢰도가 낮은 것 같다”며 “하지만 이미 외국에선 평가 결과 공개 없이도 안정화돼 문제없이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년보장심사 제도 개선은 2017학년도 1학기 정년보장 신청 교원을 대상으로 한 단기 계획과 2017학년도 이후 규정 개정을 위해 마련된 중장기 계획으로 나눠 진행된다.
 
  단기 계획은 현행 방식을 유지하지만 논문환산율 산출 프로그램 제공, 정년보장심사 설명회 개최 등을 통해 심사의 예측 가능성을 보완한다는 계획이다. 정년보장심사 결과는 다음해 1월과 2월 개별 교수들에게 통보될 예정이다.
 
  중장기 계획의 경우 정년보장심사 제도의 규정 개정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번달 중 정년보장심사에 대해 모든 단대 정년트랙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의견수렴을 진행해 1차 개선안을 마련하고 오는 11월 중에 설명회를 개최해 다시 2차 개선안을 만들 예정이다. 개선안은 내년 1월 중 시행되며 해당 연도 부교수 승진 교원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