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안으로 인해 구성원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교수공동비상대책위원회는 결사반대를 넘어 계획안 채택시 총장불신임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학본부는 기본 틀에 변화는 없다는 입장으로 중앙대 구성원과 세부 내용을 조율하고 있다.

 변화는 분명 필요하다. 중앙인 모두가 동의하는 바다. 다만 대학이 ‘시대’에 발맞추기보다 이를 선도해나갈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시대’가 ‘사회’의 변화라면 더욱 그러하다. 취업률이 대학평가의 지표가 되고 입시 결과에 따른 서열화가 대학의 위상으로 연결되는 기형적 구조가 현재 한국의 교육제도이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전국의 대학을 평가·분류해 차등적으로 재정지원과 정원감축률을 정하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의 정원조정은 불가피하다지만 황우여 교육부 장관의 “대학과 산업 간 인력의 미스매치가 발생하는 상황을 개선”하라는 말은 대학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발언일 수 있다.

 대학본부는 정부정책에 발맞춰 현재의 계획안을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통섭과 융합’이라는 이름으로 학문단위 통폐합이 용이한 기본 틀이 완성됐다. 하지만 대학본부가 추구하는 ‘국내 최고 사립종합대학’보다 ‘공대중심’ 혹은 ‘취업전문대학’의 모습으로 비칠 부분은 경계해야 한다.

 시장논리를 학문적으로 연구할 수는 있지만 같은 논리에 대학을 편입시켜서는 안 된다. 대학 고유의 성격과 의의를 바탕으로 대학 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대학본부는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향에 더욱 초점을 맞춰 계획안을 검토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