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양캠에서 열린 전학대회가 성사됐다. 양캠 모두 학생들의 의견을 담은 요구안을 본부에 전달하는 데 합의했다. 서울캠의 경우 5월 중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8대 요구안을, 안성캠에선 수업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을 요구하기로 했다. 두 요구안 모두 본부의 정책 결정에 학생들의 필요를 반영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부던히 움직였을 양캠 학생회에 박수를 보낸다.
 
 하지만 요구안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만으론 부족하다. 총학생회나 단과대 등 자치단위 차원의 요구안이 본부에 전달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서울캠 학생총회에서도 각 단과대별 단위요구안이 본부에 전달되었다. 지난해 안성캠 전학대회에서도 올해와 유사한 안성캠 투자 요구안이 제안돼 본부에 전달된 바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전달된 요구안이 어떻게 본부 정책에 반영되었는지, 얼마나 논의가 진행되었는지에 대해선 별다른 소식이 들리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부의 정책은 오랜 기간의 검토와 논의를 거쳐 결정된다. 학내 구성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인 만큼 소홀히 결정할 수 없는 노릇이다. 이런 과정에 1년 단위로 구성되고 사업을 진행하는 총학생회가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단순히 현실적인 요건으로 탓을 돌리기엔 지금껏 각 학생회에서 보여준 모습들은 아쉬운 부분이 많다. 이번 요구안은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양캠 총학생회가 지금까지완 다른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