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명의 범인을 놓치더라도, 한 명의 억울한 피해자를 만들면 안 된다.’는 형사소송법의 기조가 있다.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도 있으나, 지금 중앙대의 상황에 어느 정도 필요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중앙대는 2008년 재단이 교체된 이후 변화와 개혁을 외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이 순탄치는 않아 보인다.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그리고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변화 속에서 권리를 침해당하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적인 발전보다는 양적으로 논문을 많이 찍어내라는 압박 속에 살아가는 교수들의 반발, 새로 짓는 건물들 속에서 줄어드는 장학재원, 묵묵히 저임금-장시간 노동을 소리 없이 감내해왔던 학내 청소/시설 노동자들의 이야기까지. 
 
  이번 중대신문은 이렇게 다양한 곳에서 권리를 빼앗기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사실 학교가 발전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학교 홍보팀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많은 이들이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속에서 발생하는 상처들에 귀 기울이고 이렇게 상처투성이인 발전에 의문을 던져보는 것은 학내 언론이 아니면 그 누구도 할 수 없는 일이다. 
 
  중대신문은 이러한 상처들에 귀 기울이고 조명하는 역할은 이미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1801호는 중대신문이 학내에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어떤 논란들이 있는지를 충실하게 밝혀내고 있음을 잘 보여준 편이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앞으로는 이러한 ‘조명’의 역할을 충실하게 하는 것 뿐 아니라 정론지로서의 역할, 즉 의문을 던지고 이에 대한 대안제시에도 개입할 수 있는 학내 언론의 모습을 기대한다. 문제의식이 대폭 늘어난 기획 기사들이 이러한 독자들의 기대들을 충족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박준성 학생 
정치외교학과 4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