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강의전담교수제에 관한 기사를 썼다. 본부는 새로 도입한 강의전담교수제를 홍보하기 바빴다. 시간강사들이 강의전담교수가 되면 시급으로 받던 강사료를 월급으로 받을 수 있고, 방학 때도 강사료를 받는다. 그리고 2년간 임용이 보장되며 최대 4년까지 재임용 될 수 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시간강사의 처우 개선책이 드디어 나온 것이다. 기쁜 마음으로 기사를 썼다.

  그리고 신문이 나오기 전에 기사를 다시 봤다. 무언가 이상했다. 분명 시간강사보다 나은 조건이지만 무언가 거슬렸다.

  다시 생각해보니 그 원인을 알 수 있었다. 아직도 논란거리로 오르내리는 비정규직의 처우와 강의전담교수의 처우가 다를게 없었기 때문이다. 임용은 기본 2년이고, 임용이 끝날 즈음 재임용 절차를 밟는 완벽한 비정규직이었다. 학교가 교원임용률 수치를 제고하고 시간강사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내놓은 정책이 비정규직 확대라니.

  그렇다고 강의전담교수제가 나쁜 제도라고 욕할 수도 없었다. 시간강사보다 강의전담교수가 더 좋은 대우를 받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시간강사는 비정규직이라고도 부를 수 없는, 일용직 아르바이트생과 다를게 없는 위치에 서 있었던 것이다.

  아마 학교는 강의전담교수제를 점차적으로 확대할 것이다. 학교 입장에서는 교수보다 저렴한 가격에(!) 우수 교원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이 비정규직을 확대하는 논리와 같다.

  이런 상황에서 기자가 할 수 있는 일은 한 가지 밖에 없다. 강의전담교수제 확대로 전임교수의 숫자가 줄어들지 않는지 지켜보는 것. 학교가 입바른 소리로 비정규직만 확대하고 정규직을 축소하지 않나 관찰하는 것. 모든 의사 결정에 있어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학교를 감시하는 것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자, 유용한 일일 것이다.

 

대학보도부 차장 황종원  jongwon@cauon.net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