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와 개혁에 대한 논의가 한국 대학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모습을 보며 우리는 대학의 미래에 대한 진지한 조망과 설계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개발의 연대를 넘어 다양성의 90년대를 지나는 우리의 대학사회는 파국적 경제난을 겪으며 학문과 사회의 조응성에 관한 자기비판에 골몰하고 있다. 교육부의 개혁이 많은 저항과 잡음을 양산하고 있으나 기존의 한국교육 사회가 보여온 양상에 대한 직설적인 문제제기라는 점에서 변화와 개혁에 대한 지지의 목소리도 함께 중첩되고 있다. 우리는 ‘이해찬식의 개혁’이 갖고 있는 ‘변화의 모색’에 대해서는 긍정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개혁의 출발이 교육부라는 정책기관의 채찍과 당근에 의해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성공적인 교육개혁으로 가는 가장 큰 동력은 대학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자기변화의 노력과 계획성이 중심이 돼야한다.

학문간의 거리감을 좁히고 학과단위의 벽을 허무는 물리적인 변화를 뛰어넘는 변화의 수반이 필요하다. 물질문명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학문체계의 출현을 지지해줄 주변적, 내용적 변화가 없는 개혁은 과거 신임 장관이 제시한 개혁안만을 쫓아 장단을 맞추어대던 대학의 모습으로 끝날 공산이 크다. 변화의 필요성에 동감하고 교육개혁이란 탄력이 붙기 시작하였다면 이제는 미래에 대한 대학사회의 자기 전망을 기반으로한 진지한 새틀짜기가 시작돼야 한다. 그 변화의 실재모습이 반드시 교육부의 그것과 같아야 한다는 강박관념 또한 필요치 않을 것이다. 냉철한 진단위에 미래사회에 대한 조망과 학문체계의 구성이 바로 현 교육부 개혁의 한계성을 넘어설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현재의 대학사회가 보이고 있는 교육개혁의 부진함에서 물론 중앙대학도 자유로울 수는 없다. 개혁이란 기존의 틀을 깨는 것이고 그 변화에 민감히 반응한 자만이 새롭게 형성되는 구도에서 자신의 위상을 더욱 높힐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그 변화는 눈앞의 단기적 변화에 연연하는 것이 아닌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중앙대학의 학문구성과 특성화를 준비해 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21세기에 있어 중앙대학의 미래를 기획해나갈 전문위원회의 설치를 제안해 본다. 최소한 10여년 후의 한국사회의 흐름을 예상해보며 대학의 운영과 변화를 이끌 주체는 있어야 한다.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는 죠나단의 얘기를 굳이 꺼내지 않더라도 눈앞의 흐름을 벗어나 미래를 준비해 나가는 자세가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