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교수 성폭력 사건이후 관련 규정개정과 함께 전문상담센터 설치 필요성이 대두됐다. 그러나 규정개정 문제와 함께 성폭력 상담센터에 대한 설치도 지금까지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학생생활상담센터는 ‘성폭력 상담소’를 운영하며 교내 성폭력관련 상담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름만 성폭력 상담소였을 뿐 학교 구성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실질적 기능은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성폭력상담소에 배치된 전문 상담원도 없을 뿐더러 실질적으로 성폭력·성희롱 상담을 학교에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이도 적다.
 

 

  개정된 ‘성폭력 예방 및 처리에 관한 규정(가안)’에 따르면 ‘부총장 직속의 독립 전문기구인 반성폭력 센터를 둔다’고 명시하고 있다. 독립된 성폭력 상담센터의 설치는 성폭력규정 개정 가안의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규정개정안에 대한 심의를 거친 본부 측에서는 상담센터 독립설치 불가에 대한 몇 가지 이유를 들며 규정개정을 미뤄왔다.
 

 

  독립된 상담센터 설치에 필요한 공간과 전문인력 배치를 위한 재정적 한계가 첫 번째 이유였다. 기획처 김규환 전략기획팀장은 “캠퍼스 내에 독립적으로 상담소를 설치할 공간이 없다. 또한 상담센터 내에 성폭력 전담 상담소를 설치해서 운영이 가능하다면 따로 독립화를 시킬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당시 규정개정에 참여했던 이나영 교수(학생생활상담센터장, 문과대 사회학과)는 “공간적 제한을 고려해서 독립부서 설치를 할 수 없을 경우 학생생활상담센터 안에 실질적 기능을 할 수 있는 부서 설치라도 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개정 가안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또한 “만약 그러한 이유로 상담소 설치를 미뤘다면 학생생활상담센터 내에 성폭력 상담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적·재정적 지원을 해주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두번째는 본부는 올해 초 이뤄진 직제개편으로 담당자가 바뀌어 상담센터설치 문제가 미뤄져 올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새롭게 센터장으로 임명된 이나영 교수는 “성폭력상담센터는 학교 구성원 모두를 위해 꼭 필요한 곳”이라며 “센터장으로 임명된 후 실질적 기능을 할 수 있는 성폭력상담센터 구축을 위해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소재 주요대학의 경우 대부분 성폭력전문상담센터를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학교구성원들에게 실질적인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성폭력·성희롱과 관련한 문제는 학생뿐만이 아닌 교수, 교직원 모두에게 일어날 수 있다고 학교 측에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부에서는 상담센터장의 요구에 따라 전문상담인력 배치를 적극 고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전문상담인력을 배치하고 상담센터 내에 실질적으로 성폭력상담기능을 할 수 있는 부서가 개설 될 수 있을지는 지켜보아야 할 문제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