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력이 곧 학교의 경쟁력이 되어버린 오늘, 발전기금이 학교의 비상금으로 쓰이지 못하고 있는 실상을 점검해 본다.  <편집자주>

▲ 사진은 발전기금으로 교수연구동에 만들어진 발전기금 벽화 모습 ⓒ 중대신문 인터넷뉴스팀
올해는 대학종합평가, 연구중심대학 등 중앙대가 풀어나가야 할 과제가 어느 해보다 많은 시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을 해나가기 위해서 가장 절실한 것이 ‘돈’이다. 이렇듯 턱없이 부족한 예산을 뒷받침하기 위해 중앙대 뿐 아니라 각 학교들은 발전기금 걷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명수 전 총장은 재임기간 중 연구비와 발전기금으로 1000억에 달하는 돈을 학교로 끌어왔다. 뿐만 아니라 매년 중앙대에 기부되는 발전기금의 액수는 다른 여타의 대학에 비해 결코 떨어지는 수치가 아니다.

이렇듯 학교 발전을 위해 기부되는 금액은 연간 100억원 가까이 되지만 막대한 금액을 필요한 곳에 적절한 시기에 사용하기엔 적지 않은 제약이 따른다.

현재 걷히고 있는 발전기금은 크게 기부자가 기부금의 용도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은 일반발전기금과 기부자가 기부금에 특별한 용도를 지정하여 기부하는 지정기부금으로 나뉜다. 일반발전기금은 예산집행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에 언제든지 투입할 수 있지만 지정기부금은 기부금의 용도가 명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용도 외에는 자금을 활용할 수 없다.

하지만 문제는 매년 100억원 이상 모이는 발전기금에 대부분이 지정기부금인데 있다. 이러한 사정은 다른 학교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연세대의 한 관계자는 “정말 필요할 때 쓸 수는 없지만 지정기탁 역시도 학교를 사랑하는 한 방법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물론 기부자가 특정한 용도로 기부한 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기부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다.

뿐만 아니라 지정기부금 역시도 학교 발전을 위해 쓰여진다. 하지만 현재 발전기금 중 지정기부금의 비율이 너무 높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남는다. 이 같은 문제는 지난 17일 대학발전위원회에서도 제기된 적이 있다.

지나치게 높은 지정기부금의 비율에 대해 김영탁 기획조정실장(공대 기계공학부 교수)은 “기금 관리를 통합하고 지정기금의 일정부분을 일반 기금으로 전환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박년 발전협력과 과장은 “기부자의 의도와 용도에 맞춰 발전기금을 활발히 쓰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