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학년도 2학기 신임교원 모집에서 애초 예상인원이었던 38명에 못 미치는 22명의 신진학자만이 채용되었다. 당초 목표량의 2/3에 달하는 인원이다. 본부에서는 2005학년도 1학기에 있을 신임교원 채용에서 모자라는 자리만큼 충원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매년 반복되는 교원 부족 사태는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아 걱정이 앞선다.

특히 채용시기마다 불거져 나오는 여러 설들은 우리를 더욱 당혹케 한다. 이번 학기에도 몇몇 학과에서는 지원자가 몰렸음에도 학과에서 추천을 하지 않아 학과 내 교수들 간의 불화가 임용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출신교, 사제간 등 소위 ‘키워주기’의 마찰로 합의를 보지 못한 채 ‘미추천’이라는 비양심적인 방법을 택하지 않았냐는 것이다. 특히 일각에서는 몇 학기 째 교원을 충당하지 못하고 있는 모 학과에서 로비로 인해  임용이 보류되었다는 루머까지 돌고 있어 밝아야할 개강 분위기를 어둡게 만들고 있다.

중앙대의 교육과 연구를 담당할 고급인력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심사와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선발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아무리 많은 지원자가 있었다 하더라도 그 과정 에서 적합한 인물이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뽑지 않는 것 역시 당연지사이다. 하지만 문제는 사사로운 이익이나 교수 간 세력 싸움이 개입되었을 경우이다.

올 여름 한국 사회를 강타하고 간 것은 비단 태풍만이 아니었다. 교수 임용 자리를 두고 일어났던 장관 청탁 의혹 사건은 우리 사회에 태풍만큼이나 큰 충격이었다. 또한 교수 임용을 대가로 물품을 수수해 4년제 대학 총장이 구속되기도 했으며, 모 4년제 대학 교수협의회에서는 교수 임용을 두고 본부에 의혹을 제기해 아직도 논란을 빚고 있다.

최근 한 주간지의 설문조사에서 신규채용에서 가장 많이 작용하는 요소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교원지원자들은 ‘기존교수들과의 친분’(21.4%)을 1위로 ‘인사권자와의 친분’(18.6%)을 3위로 꼽았다고 한다. 청탁비리 문화가 ‘지성의 산실’인 대학에서마저 공공연하게 자행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부끄럽게 생각해야 한다. 이러한 불합리한 관행이 중앙대에는 전혀 없다고 자부할 수 있는가. 다시금 자문해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