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전공'이란 말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이번 99학년도 신입생 모집단위 조정은 이러한 전망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세부전공별 정원관리를 하지 않음으로써 전공간의 벽을 허물겠다는 것이다.

학부제의 본래 목적이 학생들에게 전공선택의 기회를 넓혀준다는데 있는 점에 비해, 기존의 학부제는 전공선택시 학생들의 인기학과 집중현상 때문에 결국 성적순으로 전공별 정원관리를 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정원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전공선택의 기회가 없어진 것이다.

지난해 한양대화 덕성여대 등에서 학부제 문제로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것도 전공별 학과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인기학과에만 대거 집중됐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컴퓨터나 외국어 등 기초학문만으로 성적을 평가해 학생들을 학과별 배정하는 것도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반면 이번 중앙대의 모집단위 조정은 전공의 벽을 아예 허물어버리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학부과정을 졸업할 때까지 어느 학생에게도 더 이상은 '○○전공자'라는 칭호를 부여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단지 그 학생의 성적증명서에 인쇄된 이수 과목명을 보고 '○○학문에 전문적'이라는 평가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수들은 연구를 통해 개발한 몇 개의 강의를 개설, 학생들의 수강신청을 받게 된다. 당연히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은 제시된 강의 중에서 자신의 학문적인 기호에 맞춰 선택하고 수강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수들은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부담없이 수강할 수 있는 공통교과를 개발해야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다 많은 수강생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분과적인 학문보다는 통합교과적인 학문이 크게 선호받는 것은 자명한 이치이기 때문이다.

학부교육과정은 따라서 전보다 훨씬 교양적인 차원에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학부과정 학문의 질이 저하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지만, 유연화된 지식생산과정을 통해 일반화되고 다중적인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대학원 교과과정의 전면적인 개편이 병행할 경우 본격적인 연구중신대학, 대학원중심 대학의 면모를 보이리라는 전망이다.

본부측은 다만 급작스런 교육개혁이 어려운 점을 감안, 일단은 "과도기적으로 유사학과를 통합함으로써 전공 영역을 넓혀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복수 전공제의 활성화 등을 통해 인기학과 집중 등을 통해 인기학과 집중 등 교육구조조정에 따르는 문제들을 최소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