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운동 진영 전체가 위축이 되고 내부적으로도 대중동원력이 떨어지고 있는 정세 속에서 학원자주화(이하 학자)를 그 이름처럼 단결 구호적이고 거시적인 문제에 접근시키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같은 맥락에서 양캠 총학생회가 예산절감이라는 과제에 학생들의 동참을 호소하려는 노력은 매우 바람직한 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변호된 정세라 해도 학자 투쟁은 여전히 교육재정의 확보와 재단 전입금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지난 96 한총련단위의 대규모로 진행되던 '교육재정의 GNP 5%확보, 사립대 재단전입금 확충의 시안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사립대학들의 재단 전입금이 교육재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고작 8.1%정도. 미국의 14.7%에 비해 상당히 취약한 수준이다. 또한 교육재정 GNP 5%확보 역시 교육정상화를 위해 언젠가는 풀어야할 학자투의 과제이다. 외국의 경우 대학지원예산이 교육재원의 20% 수준을 상회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의 사립대학들은 겨우 2.9%에 불과할 정도로 심각한 것이다.

따라서 사립대의 경우 사학재단의 전입금을 일정정도 수준으로 올릴 수 있는 법적 장치를 마련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립대학교법 개정에도 동참해 일부 사학들의 족벌경영 등을 민주화해야 하는데 한 몫을 담당한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학생운동진영의 정상화를 꾀해야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남는다.

현재 양캠 총학생회의 학자 투쟁의 주된 방향이 학생들의 복지와 교육 수혜에 맞춰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회가 잃어버린 공신력을 회복하기 위해 학행들의 복지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효과적인 학자투쟁의 방편이 될 수 있지만, 학생운동의 가장 큰 매력인 '거시적이고 비판적인 시선'을 게을리 해서는 안될 것으로 보인다. 학자투가 재단이나 교육재정문제 등 교육개혁의 본질적인 문제를 등한히 할 수 없는 것은 여전히 현실이기 때문이다. 학자투쟁이 캠퍼스 안에서만 맴돌고 있기에는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은 너무 기형적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