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현재 세계인구 중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는 약 26억명으로 세계인구의 45%이다. 2010년에는 약 38억명으로 53%의 인구가 도시지역에 거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은 도시화가 80%를 넘어서 세계의 평균보다 월등히 높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의 모든 국가가 빠른 속도로 도시화로 치닫고 있다.

도시화 혹은 인구의 경제활동의 도시집중현상은 인류 역사상 근세의 현상이다. 고대에는 아테네, 로마 등에서만 인구가 10만 명 이상이었다. 1800년에 1백만명이 이상의 도시가 불과 서너 곳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 지금 전세계적으로 1백만명 이상의 도시가 천 곳을 넘어서고 있다.

도시화는 곧 근대화를 상징하기도 한다. 도시는 경제적 생산 및 소비의 공간일 뿐 아니라 삶의 내용을 담고 있는 중요한 공간이다. 도시는 권력과 자본, 정보와 기술이 집적한 곳이기에 다양한 정치·경제적 이익을 향유하기에 좋은 곳이다.

그러나 도시는 문제의 공간이기도 하다. 거의 모든 도시가 유사하게 경험하는 도시문제로는 심화되는 오염, 교통체증, 슬럼, 범죄의 증가 등 이루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다.

도시는 인간에 의해 건조된 곳이다. 그런 만큼 도시는 인간을 위해 기능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조처들은 인간주의적 도시전략과 거리가 많았다. 도시문제를 고립분산적이 아닌 종합적으로 성찰하며 동시에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두어 접근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시사회운동은 시민이 주체가 되고 시민주도적인 도시만들기 운동이다. 이미 서유럽 선진국에서 시도된 사회운동적 도시만들기는 해당 지역 주민들이 지역사회주민조직체(CBO)나 시민단체(NGO)를 만들어 자신들의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할 수 있는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 주는 방식이다. 정부가 도시문제를 규정하고 정부가 해결사의 역할을 담당하고 이에 대한 평가도 스스로 하는 방안은 문제가 많다.

도시문제는 시민이 일상생활과 연관되는 삶의 현장에서 발생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도시문제의 접근법은 정부주도적인 것에서 시민중심 즉 수요자,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문제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더 이상의 도시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하지만, 이미 도시화된 지역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상법의 전환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