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앙감사위원회(중감위)는 출범 이후 가장 큰 위기를 맞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연이은 중감위원장과 중감위원의 사퇴, 상반기 정기감사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 등 학생사회 일각에서는 중감위의 필요성 자체에 의문을 갖기도 했습니다. 이에 중감위가 가진 의의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봤습니다. 

  투명한 학생자치 위해 중감위 필요해 
  중감위 신설이 논의된 2019년 1학기 전체학생대표자회의(전학대회) 자료집에는 중감위의 목표가 명시돼 있습니다. 중감위를 통해 중앙대 학생자치기구의 투명한 예산집행을 도모해 학생들로부터 학생자치기구에 관한 신뢰를 쌓고자 했죠. 이는 「중앙대학교 중앙감사위원회 회칙」 제3조에도 언급돼 있습니다. 

  불과 1~2년 전까지 회계 문제가 교내에서 발생했습니다. 2019년 서울캠 가을 축제에서 문제 제기된 플리마켓 통장사본은 아직도 공개되지 않았죠. 학생회비 문제는 비단 서울캠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지난해 강기림 전 안성캠 총학생회장은 학생회비 사적 유용으로 사퇴했고 일부 전공단위에서 학생회비 문제로 사과문을 게시하기도 했죠.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중감위가 존재했다면 이러한 상황을 최소화했을지도 모릅니다. 

  중감위, 문제는 최소화해야
  올해 1학기 전학대회에서 중감위의 ‘상반기 정기감사 결과 보고’가 이뤄졌습니다. 하지만 해당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죠. 중감위원 중도 사퇴로 특정 단위 감사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상반기 감사 중 사범대와 경영경제대 감사를 담당하던 중감위원이 사퇴했고 다른 중감위원에게 인수인계를 해야 했으나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광고홍보학과를 비롯한 일부 전공이 피감사 기구에서 누락된 사실이 전학대회에서 드러났죠. 

  나아가 중감위 내 일부 의결 기록이 누락되는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중앙대학교 중앙감사위원회 회칙」 제38조에 따르면 중감위 의결을 통해 인정된 자료도 증빙서류의 효력을 가집니다. 중감위는 본 조항을 근거로 의결을 진행했고 해당 의결에 따라 일부 피감사 기구의 감사 자료 제출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중감위 회의록에는 해당 의결 기록을 남기지 않았습니다. 이외에도 감사 가이드라인이 미비해 피감사 기구와 충돌하기도 했죠. 이는 중감위에 관한 피감사 기구, 그리고 학생사회의 신뢰를 저하할 수 있는 큰 문제였습니다. 

  극심한 인력난 시달려
  제2대 중감위는 총 7명으로 출범했으나 현재 아무도 남아있지 않습니다. 중감위 인원의 지속적인 사퇴는 업무에 차질을 빚을 뿐만 아니라 학생사회에도 좋지 않은 인상을 남길 겁니다. 이는 중감위가 학생사회에 자리 잡는 데 방해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죠. 

  인력난은 원활한 감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중감위 내에는 중감위원을 선출할 수 있는 14개 단위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각 단위를 대표할 위원조차 없는 곳도 상당하죠. 최대한 많은 단위에서 위원을 선발해야 각 중감위원이 맡는 감사 기구 수도 가중되지 않습니다. 1학기에는 5명이 60여 개의 피감사 기구를 감사했습니다. 제대로 된 감사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조차 조성되지 못한 셈이죠. 

  현재 4번째로 제2대 중감위원장직을 수행할 지원자를 모집 중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중감위원장이 선출되더라도 중감위원을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현재로서 하반기 정기감사 진행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 시기를 오히려 기회로 만들 수 있습니다. 중감위 감사 가이드라인을 구체화하고 중감위원 상시 모집이 가능하도록 회칙을 재정비하는 등 기틀을 다시 마련해야 합니다. 중감위의 의의를 다시금 되새기며 학생사회의 신뢰를 얻도록 분발해야 할 때입니다.

박환희 대학보도부장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