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이 만개한 3월 29일 신입생 정원 부진을 이유로 대구대 총장 해임이 확정됐다. 비단 대구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올해 정시전형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한 4년제 대학이 전체 198개 중 무려 162곳이다. 정원 미달 대학의 90% 이상이 지방 소재 대학으로 소위 ‘벚꽃 피는 순으로 대학 문 닫는다’는 우스갯소리가 실현된 셈이다.

  원인은 학령인구 감소에 있다. 2020년 수능 응시인원은 올해 42만1034명으로 전년 대비 6만여 명 감소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서울 소재 대학은 왜 아직도 경쟁률이 유지될까. 지방 소재 대학 위기의 주된 원인은 수도권 쏠림 현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3월 30일 ‘국립대학 및 지역 혁신 좌담회’에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부·대학원을 망라한 권역별 적정 수준의 정원 관리 방안을 마련 중이라 밝혔다. 정부의 재정지원과 연계해 지방 소재 대학뿐 아니라 서울 소재 대학 정원의 일부 축소도 유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에 인구가 쏠리는 현상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그렇다고 단순 시장 논리 ‘수요가 없으면 공급을 줄여야 한다’를 대학의 위기에 적용하자는 얘기는 아니다. 대학은 인재양성 및 인격 도야와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학의 목적이 취업인 양성으로 변화했기에 얘기는 사뭇 달라진다.

  얼마 전 서울마저 1000만 인구가 깨졌다. 학령인구도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이젠 높은 취업률, 국가고시 합격률 등 각 대학 고유의 경쟁력을 확보해 학생에게 어필해야 할 때다. 이를 수행하지 못하면 경쟁률이 유지된 대학들도 향후 구조조정 대상에서 예외란 법은 없기에.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