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젠더·환경·새터민·미디어

다양한 분야 원해

누구나 차별받을 수 있기에

“인권·시민의식 교육을 무기로”

누구나 성별, 종교, 인종, 나이 등으로 당연히 차별받지 않는 대학사회를 원한다. 이러한 ‘상식이 통하는 대학’의 중심에는 교육이 있다. 중앙대에서 인권을 수호하고 있는 이들을 만나 인권·시민의식교육 공통교양 커리큘럼을 논의했다.

※해당 기사는 김종일 인권센터 전문 연구원, 김지연 강사(미디어커뮤니케이 션학부), 류승동 인권복지위원장(전자전 기공학부 4), 서찬석 교수(사회학과), 정승 원 장애인권위원장(사회학과 2), 황세리 성평등위원장(사회복지학부 3)의 답변을 좌담회 형식으로 재구성했습니다.

  -과목명은 무엇이 좋을까요?

  서찬석 교수 : 교과목 제목은 한자어라서 고리타분한 느낌이 있죠. 재미있고 접근성 좋은 제목이면 좋겠어요.

  정승원 위원장 : 무엇을 다룰지 한눈에 보여주는 간단한 제목도 괜찮아요.

  -어떤 내용을 교육해야 할까요?

  정승원 위원장 : 성별, 장애, 신분, 인종 등의 차별 유형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교차성’을 다뤘으면 좋겠어요. 특히 장애인권을 중점으로요. 장애를 단순히 도움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일차원적인 시선 대신 법, 정치, 철학과 연관 짓는 입체적인 시각이 형성됐으면 해요.

  황세리 위원장 : 젠더 이슈요. 페미니즘이 어느 한쪽에 피해를 주는 게 아니라 평등한 사회를 위한다는 내용이 들어가면 좋겠어요.

  서찬석 교수 : 생태중심적인 관점의 수업은 어떨까요?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논의해보는 거죠. 인공지능, 드론과 같은 기술발전에서 인권적 논의를 다루면 이공계열 학생도 접근이 쉽겠죠?

  류승동 위원장 : 현재 새터민 규모가 약 3만3000명이지만 관련 콘텐츠는 부족해요. 북한 이탈 주민 내용을 전문화해 이해도를 높여야 합니다. 새터민의 원활한 적응을 위한 지원정책을 모의정책 입안 등의 방법을 통해 토의해도 좋겠습니다.

  김지연 강사 : 온라인 혐오, 디지털 성 범죄, 가짜뉴스 등 미디어 문제를 해결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포함돼야 합니다. 책임 있는 미디어 이용은 단순 이용·제작을 넘어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미디어에 참여하는 역량을 키워주죠. 디지털 시대 대학생의 시민성 함양을 위해 필수적이에요.

  -무엇을 학습목표로 할까요?

  황세리 위원장 : 소수자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음을 인지하고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배워야 합니다.

  서찬석 교수 : 대학이라는 작은 사회에서 자신이 다수자라고 생각해도, 넓은 사회에 나가면 인권침해를 당할 수 있어요. 인권·시민의식 교육은 자신과 주변의 권리를 함께 지킬 힘을 획득하는 과정이죠.

  -강의 진행방식을 논의해볼까요?

  황세리 위원장 : 토론방식이면 좋겠어요. 현대사회는 공론장이 부재하잖아요. 수업에서라도 생각을 공유할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네요.

  -어떤 평가방식이 좋을까요?

  서찬석 교수 : 사회학적 배경이 없는 학생도 듣는 공통교양이니 등급 성적제보다 P/F(Pass/Non Pass) 제도를 사용해 부담을 덜어줘야 해요.

  -마지막으로 해당 교육으로 어떤 효과를 기대하시나요?

  김종일 전문연구원 : 모두를 위한 평등을 추구해 차별이 금지되기를 바라요. 개인의 정체성은 성별, 장애, 인종 등 다양한 속성이 중첩돼 때로는 다수자 또는 소수자에 편입돼요. 따라서 그 누구도 차별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죠.

  정승원 위원장 : 사회 변화를 이끌 시민의식을 함양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보통 사회는 구조적인 문제도 개인적인 문제로 환원하죠. 시민의식은 사회에게 인권적인 요구를 할 힘의 근거에요.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