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예술마을’은 국내 예술가 중에서도 대학생 또래가 많은 청년예술가의 작품활동에 주목합니다. 청년들은 마을 어디선가 그들만의 표현 방식을 통해 사회에 목소리를 내고 있어요. 이번주 중대신문 문화면에서는 공장에서 일하는 이주 노동자의 일상을 그린 김정은 감독의 단편영화 '야간근무'를 관람하고 왔습니다. 똑똑, 문을 두드려보세요. 우리 옆집에 어떤 청년예술가가 살고 있을까요?

 

 

“한국은 이제 여름이 지나 곧 가을이에요.” 창 틈새로 스며드는 석양 아래 이국적인 외모의 소녀가 기도를 올리고 있다. 낯선 타지에서도 잘 지내고 있다며 딸 걱정은 말라는 듯 담담하게 편지를 읊조린다. 기도가 끝나면 해가 저무는 어스름을 가르며 공장으로 향한다. 

  ‘코리안 드림(Korean Dream)’이라는 말이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외국인 노동자 수가 점점 증가하면서 ‘한국에서 열심히 일하면 많은 돈을 벌어 잘살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뜻하는 해당 용어가 등장했다. 그러나 달콤한 환상이 허상임을 깨닫기까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터. 우리나라는 아직 이주민을 향한 차별과 혐오가 만연한 사회이기 때문이다. 지난 3월 발표된 국가인권위원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주민 10명 중 7명이 한국 사회에 인종차별이 존재한다고 답했다.

  김정은 감독의 단편영화 <야간근무>는 캄보디아에서 온 이주노동자 ‘린’과 한국 청년 ‘연희’의 이야기를 풀어냈다. 야간근무를 하다가 만난 둘은 서로 의지하며 각자의 꿈을 그려나간다. 그럼 이제 김정은 감독의 목소리와 함께 두 친구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자. 

 

 

  공장이 맺어준 인연

  어둠이 내린 밤, 공장 안은 여전히 환하다. 나란히 앉은 린과 연희는 각자 한 손에 펜치를 들고 재료 자르기를 반복하고 있다. 김정은 감독은 해당 장면을 실제 공장에서 촬영해 생생하게 구현했다고 설명한다. “촬영 당시 운영 중인 공장이었기 때문에 가동되는 기계 소리가 그대로 들어갔어요. 배우들 역시 관리자에게 직접 일을 배운 후 실제 근무환경에 투입돼 촬영했죠.”

  팀장급으로 보이는 이가 괜히 린에게 핀잔을 놓으며 할 일을 떠민다. 린이 홀로 남은 일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고 연희가 다가와 말없이 도와준다. 김정은 감독은 두 인물에 자신의 경험을 녹여냈다고 이야기한다. “졸업작품 후반 작업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공장에서 단기 알바를 한 적이 있어요. 그곳에서 씩씩하고 꿈 많은 베트남 친구 한 명을 만났죠. 그 친구와의 소중한 추억을 되살려 이주노동자와 한국인 청년 간의 우정과 연대를 작품에 담아보고 싶었어요.”

  꿈을 품은 바다

  밤새 같이 일하며 가까워진 린과 연희는 주말에 함께 바다에 가기로 약속한다. 린은 바다에서 놀 생각에 한껏 들떴지만 기대는 곧 무참히 깨져 버린다. 공장에서 이주노동자인 린에게만 주말 근무를 강요했기 때문이다. 결국 약속한 당일 린은 공장에 출근하느라 바다에 가지 못한다.

  같은 시각 연희는 길거리에서 전단지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연희는 호주 유학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그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김정은 감독은 서로 닮은 자세를 통해 약속 당일 서로 엇갈린 린과 연희의 상황을 극적으로 연출했다고 말한다. “바다에 가지 못한 두 인물은 서로의 사정을 잘 모른 채 각자 외로운 시간을 보냈지만 사실 같은 공간에 있었어요. 이를 보여주기 위해 다른 시각 같은 장소에 있었던 린과 연희가 힘없이 벤치에 걸터앉은 장면을 삽입했죠. 이를 통해 ‘둘이 다시 만날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내고자 했어요.” 

  공장 일을 마치고 나온 린은 길을 걷다 사람들에게 전단지를 건네고 있는 연희를 발견한다. 길 한복판에서 조우한 둘은 기어코 바다로 달려간다. 돈을 벌기 위해 한국에 온 린과 섬나라인 호주로 유학을 떠나려는 연희에게 ‘바다’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김정은 감독은 두 인물에게 바다가 의미하는 바를 설명한다. “린에게는 떠나온 고향을, 연희에게는 앞으로 살아갈 터전을 뜻해요. 각자에게 의미는 다르더라도 바다는 어디서나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죠. 그래서 바다는 두 인물이 어느 곳에 있어도 위로받을 수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해요.” 

  한편 김정은 감독은 작품 제작 당시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했다고 덧붙인다. “지난 2016년 영화를 제작할 당시 ‘헬조선’, ‘n포세대’라는 말이 전국적으로 유행했어요. 한국을 떠나 다른 나라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는 청년들이 많았죠.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영화에 반영해 연희라는 인물로 그려낸 거예요.”

 

 

  끝나지 않은 여름

  “한국은 이제 여름이 지나 곧 가을이에요.” 오프닝에서 흘러나온 린의 편지 낭송이 반복된다. 린은 여전히 같은 공장에서 야간근무를 하고 있고, 연희는 호주로 떠나는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처음 한국에 왔을 당시를 회상하는 린의 목소리가 낯선 환경과 마주해 이방인이 될 연희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김정은 감독은 해당 연출방식을 통해 연희의 상황에 린의 처지를 투영했다고 말한다. “처음과 끝에 반복되는 편지 내용은 단순히 린의 이야기에 그치지 않아요. 호주에서 여러 고난을 마주할 연희의 이야기로 이어지죠. 린의 목소리와 함께 두 사람의 상황을 번갈아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이 이방인의 이야기를 확장해서 이해하길 바랐어요.”

  시간이 흘러 계절이 바뀌었지만 ‘이주민 문제’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이주는 비단 한국에 사는 외국인 노동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누구나 살아온 터전을 떠나 타지의 땅을 밟는 순간 이방인이 될 수 있다. 김정은 감독은 이주민과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전한다. “이 작품을 완성하고 4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어요. 하지만 이주민에 대한 차별과 혐오는 여전히 남아있죠. 여러분이 이 영화를 보면서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고민해주길 바라요.” 

 


영화를 보고 싶다면! 

http://incheonntv.com/smain/contentsView.do?vodId=VOD0000000028557&chid=CH17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