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회할 것 아니냐, 다시 생각해봐라’ 이 말은 필자가 건축학부 건축공학과로 재학하다 건축학과로 전과를 결심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다. 안정적인 대기업 취업이 보장되는 건축공학과를 포기하고 왜 건축학과로 전과하느냐는 여러 사람들의 의견이 있었다. 그들은 오해하고 있다. 필자는 건축공학과를 포기하지 않았다. 필자의 꿈은 구조와 설계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건축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법률상 건축구조(structure)와 건축설계(design)를 한 사람이 겸업할 수 없다. 이에 중앙대도 건축공학과와 건축학과를 나누어 둘의 진로를 구분하고 있다. 허나 건축이라는 학문은 이미 오랜 시간 대표적으로 대두돼온 공학과 인문학의 교집합 역할을 하는 학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실이 아름다운 공간을 창조하고 안전한 건물을 설계하기 위한 올바른 길일까? 필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중앙대 건축학부가 예전과 같이 건축공학과와 건축학과를 통일하고 건축학부 학생들이 여러 분야를 섭렵하도록 환경을 조성해줘야 하는 2가지 이유를 대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건축은 합리적이어야 한다. 구조와 설계는 팽팽한 줄다리기처럼 서로 균형을 잡고 조화를 이뤄야 뛰어난 건축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렇기에 건축은 이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아야하는 욕심을 부려야 한다. 구조라고 해서 미적인 부분이, 설계라고 해서 공학적 측면이 제외되는 게 아니다. 한쪽으로만 기울어지면 큰 문제가 발생한다.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확실한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건축은 MP(Many People)가 아닌 MP(master Planner)를 필요로 한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힘을 합해 뛰어난 건축물을 설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뛰어난 집단에는 훌륭한 리더가 필요하듯 건축물이 설계되고 시공되는 과정에는 MP가 존재한다. 하나의 인체처럼 건축물을 설계하는 데에는 구조전문가와 설계전문가가 따로 존재한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이 있다. 이 사회는 건축에 있어서 확실한 전문가가 필요할 뿐 많은 전문가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두 분야를 섭렵한 진정한 건축전문가만이 MP의 자격을 가지고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를 위한 진정한 건축을 해야 하기에 학부통일이 필요한 현실이다. 

  필자는 건축학도이며 공간이 주는 거대한 힘을 믿는다. 신념이라면 신념이겠고 철학이라면 철학이겠지만 세계 어느 곳이든 그 나라의 문화와 상징은 의식주 중 건축이 주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건축가들이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은 단순히 아름다운 건물이 아니다. 그들이 설계한 건물이 문화를 형성하고 삶을 가꾸며 도시와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진정한 건축과 공간이 지닌 힘을 올바르게 사회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바람이 현실화되기 위한 첫걸음이 우리 건축학도들에게 환경을 조성해주는 일이 아닐까 생각한다.

신승준 
건축공학과 1학년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