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대학알리미 10월 대학정보공시가 발표됐습니다. ▲전임교원 확보율 ▲교지·교사시설 확보 현황 ▲재정지원사업 수혜 실적 ▲1인당 교육비 및 장학금 ▲안전관리 현황 ▲폭력예방교육 실시 현황 등이 공개됐죠. 이번주 중대신문에서는 대학정보공시를 바탕으로 중앙대의 현주소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봤습니다. 대학정보공시로 보는 중앙대 곳곳, 함께 둘러볼까요?  

교육여건, 양캠 간 차이 극명했다
교육비 및 폭력예방교육 참여율은 상승세 보여
실험·실습실, 3등급 늘었으나 개선 노력 중

여전히 부족한 안성캠 전임교원

올해 ‘전임교원확보율(재학생기준)’은 서울캠 약 78.64%, 안성캠 약 56.99%로 나타났다. 서울캠에 비해 안성캠에서 전임교원 강의를 듣는 학생 비율이 현저히 낮은 셈이다. 지난해 9월 대학본부는 전임교원을 확보하겠다는 조건으로 예술대 모집정원 축소를 결정했다. 그러나 올해 전임교원확보율은 지난해에 비해 약 0.69%p 증가에 그쳤다.

  학생사회는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지속해서 내고 있다. 지난 9월 열린 ‘CAU Leaders Forum (리더스포럼)’에서 예술대 이설아 학생회장(한국화전공 4)은 “예술대는 전공 특성상 교수 충원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지금까지 진행된 전임교원 충원은 실질적으로 체감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당시 방재석 안성부총장(문예창작전공 교수)은 “예술대에 전임교원 담당 강의비율을 50%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북적이는 서울캠, 한산한 안성캠

  올해 서울캠의 ‘교지확보율(재학생기준)’은 약 22.6%인 반면 안성캠은 무려 약 416%에 달한다. 안성캠의 보유면적은 약 76만2059㎡으로 서울캠 면적 약 14만8297㎡에 5배가 넘는 데 반해 재학생 수는 서울캠이 안성캠보다 3배가량 많기 때문이다.

  서울캠은 안성캠보다 현저히 많은 교사시설 면적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를 기준으로 서울캠은 안성캠보다 기본시설, 지원시설, 연구시설, 부속시설 등 교사시설을 약 25만8858㎡을 더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캠의 인구과밀로 인해 ‘교사시설확보율(재학생기준)’은 서울캠 약 101.8%, 안성캠은 약 162.2%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시간강사는 강사로, 대형강의는 증가

  지난학기 전체 교원 중 시간강사가 담당한 강의비율은 서울캠 약 21.6%, 안성캠 약 50.2%였다. 그러나 이번학기부터 시간강사가 폐지되고 강사라는 직급이 신설됐다. 교무팀 용해원 직원은 “이번학기부터 적용된 강사법으로 인해 시간강사에서 강사로 명칭이 변경됐다”고 말했다. 이번학기 강사가 담당하는 강의비율은 서울캠 약 20.4%, 안성캠 약 52.7%다.

  수강생이 81명이 넘는 오프라인 대형강의도 확대됐다. 서울캠의 경우 대형강의가 지난해 총411개에서 올해 총 469개로 58개 증가했다. 안성캠 대형강의도 지난해 20개에서 올해 37개로 17개 더 개설됐다. 학사팀 이경미 차장은 “강의규모 축소·확대와 관련해 따로 조치를 취하진 않았다”며 “대형강의가 늘어난 현상은 학생수요에 맞춘 결과”라고 말했다.

  재정지원사업 수주액, 서울캠↗ 안성캠↘

  지난해 서울캠 재정지원사업 수주액 규모는 약 900억원을 돌파했다. 구체적으로는 917억2984만원으로 지난 2013년 432억3882만원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서울캠이 재정지원사업 수주에서 이처럼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이유에는 지난해 8월 ‘대학혁신지원 시범(PILOT)사업’에 선정된 점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해당 사업 지원액은 총 21억7600만원으로 지난해 지원이 시작된 사업 중 최고 금액을 기록했다.

  서울캠 소속 학문단위 역시 규모 상승에 큰 역할을 했다. 기획팀 최명 주임은 “특정 학문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과제를 수주하기 위해 구성원 간 협업을 바탕으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각 학문단위가 각종 연구과제를 수주한 점도 크게 작용했다”고 언급했다.

  반면 안성캠은 지난 2014년부터 재정지원사업 수주가 녹록지 않은 실정이다. 지난해 수주액은 약 70억원으로 지난 2017년 대비 약 48억원이 감소했다. 지난 2014년에 비하면 약 100억원이 줄어든 규모다.

  그러나 대학본부는 대학정보공시 상 캠퍼스를 분리해 표기할 뿐 실질적인 의미는 없다고 설명했다. 최명 주임은 “LINC+사업, 대학혁신지원사업, ACE+ 사업만 보더라도 양캠을 대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해당 사업 담당부서가 서울캠에 있어 실적도 서울캠에 입력될 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재정지원 기관의 정책 방향에 따라 매년 사업 종류와 규모가 상이한 점도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대학본부는 앞으로 안성캠 수주액 확대를 위한 지원에 돌입할 예정이다. 최명 주임은 “일례로 지난 여름방학에 안성캠에서 도전했던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수주를 위한 지원을 내년에도 제공할 계획”이라며 “학내 구성원이 언제든 사업 수주를 시도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모든 구성원의 적극적인 관심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1인당 교육비 및 장학금, 모두 늘었다

  지난해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장학금은 지난 2017년에 비교해 모두 확대됐다. 지난 2017년 1인당 교육비는 양캠을 통합해 약 1504만500원이었다. 이번 정보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교육비는 약 80만원이 증가한 약 1583만9800원을 기록했다.

  재무회계팀 관계자는 “교비회계 중 연구학생경비 분야가 교육비의 가장 큰 증액 원인”이라며 “지난해 약 83억원의 연구학생경비가 늘었다”고 답했다. 덧붙여 “이외에도 관리운영비 약 52억원, 산학협력단회계 약 56억원이 증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학생 1인당 장학금 역시 늘었다. 지난해 서울캠의 재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은 약 314만3600원이었다. 지난 2017년과 비교했을 때 약 18만2000원이 증액된 셈이다. 안성캠도 지난해 재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이 약 41만9900원 늘어 약 366만5500원을 기록했다.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의 확대를 이끈 항목은 교외장학금에 해당하는 국가장학금이다. 국가장학금은 지난 2017년과 비교해 지난해 서울캠 약 53억, 안성캠 약 11억이 증가했다. 학생지원팀 문경란 차장은 “지난해 국가장학금을 신청하는 학생 수가 늘어난 결과”라고 설명했다.

  중도탈락 학생, 서울캠은 반전-안성캠은 여전

  서울캠은 지난 2014년 재적학생 중도탈락률 2.3%를 기록한 이후 중도탈락률이 꾸준하게 상승해왔다. 지난 2017년에는 전체 재적학생 2만4277명 중 647명이 중도탈락해 2.7%의 중도탈락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재적학생 2만5058명 중 565명이 중도탈락하며 2.3%로 하락했다.

  그러나 안성캠은 지난 5년간의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14년 안성캠의 중도탈락률은 2.2%로 서울캠보다 낮은 수치였다. 지난 2015년에도 2.3%로 지속해서 서울캠보다 적은 비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지난 2016년부터 상황이 바뀌었다. 안성캠은 재적학생 중도탈락률 2.7%를 기록하며 서울캠을 따라잡았다. 지난 2017년에도 3%의 중도탈락률을 달성했고 지난해에도 전체 재적학생 7494명 중 251명이 탈락해 재적학생 중도탈락률 3.3%를 기록했다.

  이러한 현상은 안성캠 재적학생이 감소함에도 중도탈락률 학생규모가 비슷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중도탈락 학생은 대략 250명 선으로 비슷하다. 그러나 같은 기간 재적학생이 약 1800명 줄어들어 중도탈락률 상승을 견인했다.

  실험·실습실 안전관리 개선 필요해

  서울캠 실험·실습실 안전은 과거에 비해 다소 흔들렸다. 지난해 과학기술분야 실험·실습실 중 총 3개가 3등급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 3등급 실험·실습실이 단 한곳도 없었던 것과 비교해봤을 때 지난 2017년 1곳, 지난해 3곳으로 증가한 점은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안성캠 실험·실습실 안전 환경은 비교적 양호하다. 지난해 안성캠 실험·실습실 중 안전관리 1등급은 총 85개, 2등급은 총 27개였으며 3등급은 없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3등급 연구실은 ‘연구실 안전환경 또는 연구시설에 결함이 발견돼 안건환경 개선이 필요한 상태’에 해당한다. 안전관리팀 추헌직 주임은 “신임교원의 새 연구실을 조성하는 단계에서 정밀안전진단에 들어가면 등급이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며 “당시 3등급으로 평가된 곳은 현재 전부 개선이 완료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추헌직 주임은 “올해의 경우 1등급 실험·실습실의 비율이 점차 늘고 있다”며 “연구실 측에도 적극적으로 관리를 안내하는 등 개선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캠 모두 지난해부터 보험(공제)가입금액이 사망/후유장애의 경우 2억원, 부상은 5천만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17년 8월 개정된 법령 「연구실사고에 대한 보상기준」에 따른 결과다.

  대폭 상승한 폭력예방교육 참여율

  지난 2017년 양캠의 폭력예방교육 참여율은 교원의 경우 성희롱 54.8%, 성매매 45%, 성폭력 45.3%, 가정폭력 44.7%로 절반 정도에 그쳤다. 재학생 또한 성폭력 27.2%, 가정폭력 26.8%로 참여율이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폭력예방교육 참여율이 크게 상승했다. 특히 재학생의 폭력예방교육 참여율이 성폭력 75.9%, 가정폭력 73.4%로 크게 올랐다. 이는 지난 2017년 2학기에 열린 ‘서울캠 전체학생대표자회의’에서 인권·성평등 교육 의무화 안건이 가결됐기 때문이다. 인권센터 관계자는 “학생들이 먼저 전학대회에서 의결한 안건에 따라 지난해부터 교육 이수 시에만 성적 조회가 가능하도록 변경했다”며 “또한 지난해부터 신입생을 비롯한 학생대상 오프라인교육을 50회 이상으로 늘려 실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교원의 경우에도 성희롱 예방교육 참여율이 70.6%로 늘었다. 인권센터 관계자는 “사회적으로 성평등 분위기가 확산되고 교내 구성원의 성인지감수성 함양 요구가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교원이 교육을 이수하지 않을 경우 강의계획서 입력도 불가하다”고 말했다. 또한 “제도적으로 모든 구성원이 폭력예방교육을 수강하는 시스템을 정착화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