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개방 모집제도’는 2018학년도 입시부터 적용된 제도로 2016학년도에 시행했던 ‘광역화 모집제도’를 수정·보완한 제도입니다. 전공개방 모집제도 도입에 난항을 겪고 있는 지금, 이 제도의 변천 과정을 짚어 봤습니다.

  아픔만 남긴 ‘광역화 모집제도’

  지난 2015년 2월 26일 대학본부는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학문단위 유연화를 위해 2016학년도부터 학과제를 폐지하고 단대 기준으로 신입생을 모집하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장기간 학생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 전공단위를 폐지할 수 있다는 방침도 포함됐습니다.

  이에 학내 구성원은 대학본부의 일방적인 의사결정에 동의할 수 없다며 즉각 반발 했습니다. 이를 잠재우기 위해 같은해 4월 9일 학생·교수·대학본부가 참여한 1차 대표자회의가 열렸습니다. 같은달 30일 4차 대표자회의에서 최종 합의안을 도출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이후 나머지 대표자회의에서 진입 상한 비율, 구체적인 교육방안 논의 등 세부 내용을 조정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광역화 모집제도는 2016학년도 전체 입학정원의 약 22%인 정시 인원을 단대 별로 뽑는 입시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통해 들어온 학생들은 입학 전 희망순위를 제출해 1년 동안 전공 기초 과목을 수강할 가전공을 배정받습니다. 이후 2학년 진급 시 지망순위와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본전공이 정해집니다. 그렇게 2016학년도 입시가 시작됐고 광역화 모집제도를 통해 입학한 학생들이 가전공을 배정받았습니다. 2곳의 전공단위를 제외한 대부분의 전공에서 1지망에 지원한 학생들을 수용했습니다.

  그러나 학기가 시작되면서 불만의 목소리가 들려왔습니다. 학생자치 활동 소외, 본전공 진입에 대한 불안, 전공 탐색의 기회 결여 등이 문제였습니다. 당시 제58대 서울캠 ‘응답하는’ 총학생회가 광역화 모집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유효표본 총 430명 중 약 66%의 학생이 전공이 바뀔 수도 있다는 점에서 압박감을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그리고 약 55%의 학생은 지원 당시 광역화 모집제도를 잘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습니다. 단대 별로 운영한 가전공 배정 비율에 일관된 기준이 없었습니다. 특히 사과대는 신청한 모든 학생의 가전공 진입을 허용해 ‘가전공 쏠림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타전공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시스템도 미비했고 1학년 2학기에 휴학한 후 엇학기로 복학한 학생들에 대한 전공 배정 방법도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해결책은 없었습니다. 결국 대학본부는 충분한 준비가 없었던 점을 사과했습니다. 그리고 2017학년도부터 공학계열만 광역화 모집을 시행하고 제도를 보완해 재추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후 2017년 1월, 2016학년도 광역화 모집으로 입학한 학생 872명의 본전공 배정이 완료됐지만 28명의 학생은 결국 원하는 전공에 배정받지 못했습니다.

  새롭게 등장한 ‘전공개방 모집제도’

  전공개방 모집제도는 학생들의 졸업 경쟁력 강화를 취지로 광역화 모집제도를 대신해 등장했습니다. 전공개방 모집제도는 전체 인원의 약 20%의 정시모집 인원을 단대 별로 선발한다는 점에서 광역화와 유사합니다. 그러나 학생 희망 시 1학년 진입전공의 잔류를 보장하고 학문단위의 최소 정원도 보호합니다. 본전공 진입에 대한 불안과 학과 구조조정 우려를 일정 부분 던 셈입니다.

  지난 2018학년도 입시에는 공대, 창의ICT공대 그리고 생공대가 전공개방 모집제도를 통해 신입생을 선발했습니다. 오는 2019학년도 입시부터는 인문대, 사과대, 자연대, 경영경제대 등 총 4개 단대와 예술대 디자인학부도 이 제도를 도입합니다.

  이에 맞춰 각 단대 특성에 맞는 전공탐색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경영경제대의 경우 학과별 오리엔테이션을 개최할 예정이고 자연대는 1학년 대상 전공기초 과목을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구상 중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은 많습니다. 전공개방 모집제도로 특정 학문단위에 쏠림현상까지 발생한다면 학습 환경의 질적 저하는 자명해 보입니다. 전공 선택 과정에서 학문단위의 서열화도 염려됩니다.

  제도 도입 전 과정에서 대학본부와 구성원의 소통 문제는 여전했습니다. 이미 성급한 제도 도입으로 중앙대는 한차례 홍역을 치렀습니다. 대비책 마련과 구성원 간 충분한 소통 이후에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순서에 맞지 않을까요.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