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형 부정축재가 판치는 세상에서 대학도 예외는 아니었다. 현재 총신대에서는 이사회와 학생들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총신대 김영우 총장이 배임증재 등의 혐의를 받자 총신대 재단이사들은 정관개정을 감행해 김영우 총장을 재선출했다. 이에 총신대 신학대학원을 비롯해 일반대학원, 학부생 등 다수의 학생이 지난 1월 29일부터 종합관 등 건물을 점거하고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2월 총신대 총학생회는 김영우 총장에게 면담을 요청했으나 여전히 총학은 기약 없는 면담대기 상태로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

  정관 개정에서 가장 문제가 된 조항은 제45조 1항이다.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교원에 대하여는 직위를 부여하지 아니한다’를 ‘직위를 부여하지 아니할 수 있다’로 개정했다. 어떤 의도가 담겨있는지 뻔히 보이는 행태다. 이사회가 재선출한 김영우 총장은 배임증재, 교비 횡령, 뇌물 제공 등 다수의 혐의를 받고 있는 인물이다. 교육 현장에 설 수 없는 인물을 한 대학의 총장으로 선출한 것은 어떤 이유와 핑계로도 용납할 수 없는 부정의다.

  학생사회는 다양한 방법으로 불의에 항거했다. 종합관 및 신관 등 건물을 점거했고 이후 지난달 19일에는 전산실의 랜선을 뽑아 학교행정을 마비시켰다. 이에 대한 총신대 대학본부의 반응은 지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총신대 대학본부는 같은달 24일, 술에 취한 19명의 용역을 학생들이 점거한 공간에 투입했다. 용역들은 종합관으로 진입을 시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책상이 부서지고 일부 학생은 부상을 입었다.

  무력 대응은 한 차례 더 이어졌다. 지난 17일 총신대 대학본부 측은 학생들이 점거하고 있는 건물에 약 100명의 용역을 재차 투입했다. 그중 일부는 쇠파이프를 든 채 학생을 위협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물리적 충돌로 일부 학생은 계단에서 굴러떨어지고 발에 깁스를 할 정도로 부상을 입기도 했다. 대화를 시도하고자 면담을 기다리던 학생들을 사설 용역과 경비 업체를 고용해 폭력으로 대응했다는 점은 이들이 교육자로서 어떤 자격도 없음을 스스로 증명한 것과 마찬가지다. 불의에 대한 저항을 폭력으로 진압한 이들의 수준은 군부독재 시절에서 한발자국도 나아지지 않았다. 통렬히 반성해야 한다.

  결국 지난 18일 김영우 총장은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를 입시휴업일로 공고했다. 휴업 기간이었던 지난 21일부터 교육부는 총신대 실태조사에 나섰다. 50일이 넘는 기간 동안 밤낮으로 학교를 지킨 학생들의 저항과 희생으로 만들어진 기회인 만큼 철저하고 면밀히 조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대학은 결코 사유의 공간일 수 없다. 또한 어떤 부정의도 허용돼선 안 되는 공간이다. 권력과 지위를 남용해 본인의 사리사욕을 채우려 하는 이들에게 단 한 평의 공간도 허용해선 안 된다. 청년을 양성하는 대학의 강단에 이들이 설 자리는 없다. 대학은 권력 남용과 권력형 부정축재에 더 엄격한 잣대를 제시해야 한다.

  권력을 남용해 약자를 탄압하는 행위에 대항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학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더 이상 학생들과 선량한 대학구성원의 피해가 가중되지 않도록 빠른 시일 내에 총신대 정상화를 이룩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