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을 끝으로 양캠 총학생회(총학) 선거가 마무리됐다. 서울캠과 안성캠 총학 선거에 각각 단선으로 출마한 ‘온’ 선거운동본부(선본)와 ‘울림’ 선본이 당선됐다. 온 총학의 임기는 지난 1일 시작됐으며 당선된 울림 선본의 임기는 오는 7일부로 시작돼 약 1년간 학생 사회의 대표자로 활동하게 된다.

  본격적인 임기 시작에 앞서 부족한 공약의 구멍부터 채워야 한다. 서울캠 총학과 안성캠 총학은 선거운동 당시 각각 27, 26개의 공약을 구성원과 약속했다. 그러나 담당 부처는 울림 선본이 제시한 ‘대학 행정부처 균형화’, ‘영신음악관 리모델링’ 공약과 온 선본이 제시한 ‘미화원 휴게실 개선’ 공약 등은 현재 여건상 시행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울림 선본의 ‘교양 수업 점검 및 재편’ 공약과 온 선본의 ‘학내 예산 정보 공개’ 등의 일부 공약은 이미 시행되고 있다. 

  일부 공약이 ‘요구’나 ‘제안’, ‘제시’ 등에 그친다는 지적에도 구체적인 답을 내놓아야 한다.  요구에 그치는 총학의 움직임으로는 실질적인 중앙대 발전을 이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제59대 안성캠 ‘WITH’ 총학이 ‘안성캠 전임교원 충원 계획 요구’, ‘학생식당 직영화를 위한 단계적 개선방안 요구’ 등의 공약을 이행했지만 안성캠의 변화는 만들어내지 못했던 전례를 보아도 알 수 있다.

  학내 소수자에게도 주목해야 한다. 양캠이 제시한 총 53개의 공약 중 외국인 유학생과 장애인 등 학내 소수자를 위한 공약은 어디에도 없다. 공약은 총학의 정체성을 대변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학생사회를 대표하는 총학이라면 전체 구성원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스스로 목소리를 내기 힘든 소수자의 경우 더욱 그렇다. 구성원 어느 누구도 학생 자치에서 소외당해서는 안 된다. 

  임기 동안 선거시행세칙 개정도 이뤄내야 한다. 현재 양캠 선거시행세칙에는 부적절한 세칙과 애매한 표현이 즐비하다. 현행 선거시행세칙으로는 정확한 선거권 해석이 불가능한 것이다. 무엇보다 대학 생활 전체를 중앙대에서 보내는 외국인 유학생과 다음학기 재학할 7차 학기 재학생은 ‘기본 유권자’로 해석해야 한다. 현행 ‘기본 유권자’와 다를 바 없는 구성원을 출신과 재학 가능성을 근거로 차별해선 안 된다. 구성원의 목소리가 반영된 대표자 선출을 위해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총학생회는 학생 사회 의견 개진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다음해 중앙대는 개교 100주년, New Vision, 서울캠-안성캠 간 정원 이동,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등 수 많은 사안을 마주하게 된다. 이때 대학의 주인인 학생들의 목소리를 대학 행정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총학이 학생사회의 목소리를 주도해야 한다. 그리고 구성원의 목소리를 분명하게 전달해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대표자’의 역할이다. 양캠 총학의 당선을 축하하며 중앙대의 발전과 학생자치 실현을 위해 임기 동안 바쁘게 움직이며 거무구안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