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주년을 코앞에 둔 지금, 중앙대는 선택의 기로에 놓여있다. ‘캠퍼스 간 정원이동’, ‘New Vision 수립’, ‘전공개방 모집제도’ 등 결정할 사안이 많고, 그 무게도 가볍지 않다. 이 중 캠퍼스 간 정원이동과 전공개방 모집제도는 시일도 얼마 남지 않았다. 하지만 아직 일반에 공개된 내용은 아무것도 없다.


  대학본부의 계획에 따르면 ‘캠퍼스 간 정원이동 문제’는 11월까지 서울캠퍼스에서 이동할 정원의 규모를 결정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2차 의견수렴은 1차 의견수렴의 내용을 공유하는 수준이지 그 이상의 의미가 있진 않다. 2차 의견수렴 과정에서 대학본부가 해야 할 일은 1차 의견수렴 결과를 간추리고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선택지로 만드는 일이다. 그 선택지에 따르는 예상 결과까지 담아 구성원들에게 의견을 물었어야 했다. 의견수렴 과정은 구성원들의 의견을 모으는 것에서 끝나지 않는다. 구성원들이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의견을 간추려 제시하고 이후 의견까지 모아야 완성된 의견수렴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캠퍼스 간 정원이동, New Vision 수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안성캠 발전계획도 마찬가지다. 안성캠 구성원은 신캠퍼스 계획 때부터 10년째 불안정한 안성캠퍼스의 미래를 걱정하고 있다. 몇 년째 요구한 발전계획도 추상적인 개념 몇 개만 나왔을 뿐 만족할 계획(안)은 아직도 깜깜무소식이다. 안성캠퍼스발전기획단이 출범한 지 3년이 다 돼가지만 안성캠퍼스 발전은 아직 설계도도 채 나오지 않았다.


  이미 결정됐거나 논의 단계에 이른 내용이 있다면 구성원에게 빠르게 전달해야 한다. 대학본부, 각 단위의 대표자들과 구성원들 간에 정보 격차가 생긴다면 구성원은 대학본부와 각 단위의 대표를 신뢰할 수 없으며 그들의 의사결정 역시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현재 대학본부는 최대한 많은 구성원을 논의 테이블에 참여시키는 소통방식을 취하고 있다. 교무위원회, 대학운영위원회의 확대와 각종 위원회 제도가 그렇다. 논의 테이블에 앉아 있는 각 단위의 대표자들은 정보 격차가 생기지 않도록 즉각 구성원에게 해당 내용을 전달하고 그에 따른 의견을 모아야 한다. 그것이 대표자의 역할이다.


  이번 결정이 향후 중앙대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중앙대의 미래 모습을 결정하고 정원을 조정하며 학사구조를 바꾸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결정의  의미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앙대 구성원 간에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느냐에 있다. 이번 결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중앙대는 또 다른 갈림길에 선다. 그간 쌓인 불신의 벽을 허물 수도, 더 높은 불신의 벽을 세울 수도 있다. 대학본부와 각 단위의 대표자들은 이를 명심하고 의견수렴 과정과 의사결정 과정을 치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