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간 정원 조정 방안이 논의 테이블에 올라왔다. 기획처가 지난 12일에 열린 교무위원회에서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오는 11월까지 서울캠 구성원을 중심으로 조정할 입학정원의 규모를 결정하고 12월부터는 안성캠 이전 방안을 논의한다.
 
  서울캠에서 안성캠으로 최대 179명(최소 108명)의 입학정원을 옮기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자칫 잘못하면 구성원 간 불신만 커질 수 있다. 학사구조개편, PRIME 사업 등 최근 벌어진 사건들만 봐도 학내 구성원들이 입학정원 조정을 얼마나 민감하게 생각하는지 가늠할 수 있다. 규모도 작지 않다. 인원을 최대(179명)로 조정할 경우엔 사범대(140명), 자연대(170명), 체대(120명) 등보다 크며 2017학년도 서울캠 입학정원 3378명 중 약 5.3%를 차지한다. 정부에서 입학정원을 관리하는 사범대, 의대, 약대, 간호대 등을 제외하면 약 6.6%에 달한다. 안성캠 입학정원은 지금보다 약 10.2%~16.9% 정도가 늘어난다.

  조정 규모를 정하는 기준을 세우기부터 어렵다. 본·분교 통합 당시 규모가 늘어난 단위에서 정원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부터 부담을 같게 나눠야 한다, 특정 학문단위는 제외해야 한다, 학문단위의 인원수용력 등을 고려한 입학정원 조정 적합도를 따로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다양한 주장들이 나올 수 있다. 이를 논의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안성캠도 마찬가지다. 학문단위를 신설할지, 기존 학문단위의 입학정원을 늘릴 것인지, 앞선 두 방안을 혼합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 또한 모두 검토해야 한다. 학문단위를 새로 만들 경우 PRIME 사업 당시 논의된 휴먼문화기술대학이 적합한지 아니면 또 다른 학문단위가 적합할지 생각해야 한다. 기존 학문단위의 입학정원을 늘리는 것 역시 재정지원사업으로 줄어든 인원(185명)을 기준삼아 늘릴지, 특정 학문단위를 선별해 해당 학문단위의 인원만 늘릴지도 문제다. 교원확충 등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까지 검토까지 마치기엔 3개월의 시간은 촉박하다.
 
  게다가 해당 사안은 안성캠퍼스 발전계획과 궤를 같이한다. 해당 논의가 더욱 신중해야 하며 논의 과정에서 교원과 학생의 의견이 반드시 반영돼야 하는 이유다. 하지만 대학본부가 계획에 따르면 안성캠 의견수렴 일정은 12월부터다. 12월은 사실상 학기를 마무리하는 시기다. 12월엔 학생과 교원 모두 기말고사 등으로 논의 과정에 집중하기 어려우며 방학 중에는 대표자들이 논의를 주도하더라도 의견을 모으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번엔 과거처럼 시간에 쫓겨 일방향의 소통이 되어선 안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성캠은 당장 이번달부터 조정규모와 관련 없이 미리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의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논의할 사안의 크기와 내용에 비해 의견수렴 시간은 너무 짧다. 하지만 마냥 앉아서 유의미한 결과만 바랄 순 없다. 빠른 논의를 위해 대학본부와 각 단위의 대표들은 구성원 의견 수렴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