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학기 학내 구성원 간 의견이 크게 엇갈리며 난항을 겪었던 ‘전공개방 모집제도’가 다음학기부터 공식적으로 시행된다. 하지만 전공개방 모집제도는 여전히 불안하다. 좋은 취지만 덩그러니 던져져 있을 뿐 이를 뒷받침할 각종 제도적 장치가 보이지 않는다. ‘광역화 모집’이 참담한 실패로 막을 내려야 했던 이유 역시 탄탄한 준비 없이 성급히 제도를 도입한 데 있었다. 전공개방 모집제도가 그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

  2018학년도부터 공대, 창의ICT공대, 생공대 등 3개 단대에서 총 242명의 학생을 전공개방 모집제도를 통해 신입생을 모집한다. 우선 시행하는 세 단대는 각 단대에 전공개방 모집제도 시행 방안의 자율성을 부여하겠다는 대학본부의 방침에 따라 전공별 전공개방 모집 정원을 스스로 설정했다.

  학문단위별 특성에 맞춰 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각 단대에 자율성을 보장한 점을 긍정적이다. 다만 전공개방 모집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대학본부 차원의 제도 정비가 필수다.

  전공개방 모집제도의 핵심은 학생의 전공 선택권 확대인데, 이를 위해서는 학생이 다양한 전공기초과목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학본부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지난학기 설명회에서 대학본부는 ▲계절학기 전공기초과목 강의를 책임이수에 포함 ▲적은 수의 학생이 수강 신청하더라도 폐강되지 않도록 조치 등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이런 방안들의 제도화는 개별 단대가 직접 해결할 수 없다. 대학본부가 직접 학칙 개정을 통해 약속해야 한다.

  그러나 2018학년도 정시모집요강이 발표된 지금까지도 구체적인 제도 정비 방안이 도출되지 않고 있다. 제도를 마련해 학내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정 과정을 거쳐 학칙 등에 명문화하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 지난 8일 중대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류중석 교학부총장은 전공개방 모집제도 안정화 관련 제도 정비를 두고 “다양한 문제가 얽혀 있어 단번에 결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대학본부 역시 제도 정비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움직여야 한다. 적어도 정시 원서접수가 시작되는 12월 전까지 모든 제도를 완비해야 한다. 전공 선택권 확대라는 취지를 뒷받침할 제도도 없이 신입생을 모집한다면 전공개방 모집제도는 ‘광역화 모집’이 받았던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