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교학·연구·행정부총장이 사임했다. 사임의 이유는‘변화의 전기를 만들고 총체적인 쇄신을 도모할 필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QS(Quacquarelli Symonds) 세계대학 평가 사태 이후 어수선한 학내 분위기를 정리하고 대학 운영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총장단의 결심이라 믿는다.

  행정체제의 변화도 보였다. 연구부총장을 공석으로 두고 그 기능 대부분을 교학부총장에게 이관했다. 그동안 대학 규모에 비해 부총장의 수가 많았고 교육과 연구 업무의 밀접도가 높아 통합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이 대학본부의 설명이다. 행정단위(처)와 교육단위(대학)의 권한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나왔다. 총장은 방향을 제시하고 부총장은 행정단위 및 교육단위 간의 업무를 조정한다. 총장의 서신에는 중장기적으로는 교육·연구와 관련된 제도에 단과대학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학장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내용도 담겼다.
 
  이와 함께 구성원과의 소통창구도 넓혔다. 각종 위원회에 교수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교수사회의 목소리를 듣고 학생사회의 의견은 중앙운영위원회를 통해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직원사회와는 전체직원회의 등으로 각종 정책에 관한 생각을 공유하겠다고 했다. 교무위원회 등을 대학언론에 공개하여 의사 결정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구성원과의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대학본부의 강한 의지로 받아들인다.
 
  이와 같은 조치로 많은 구성원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게 될 가능성은 열렸다. 하지만 여기에 그쳐선 안 된다. 행정단위(처)와 교육단위(대학)의 역할과 권한을 강화하는 만큼 이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또한, 진정한 소통을 위해서 충분한 시간을 들이고 제시한 정책의 큰 틀과 방향을 바꾸는 융통성을 발휘하기도 해야 한다. 논의의 시간이 짧다는 점은 대학본부의 소통 과정에서 매번 지적되어 온 문제다. 몇 번의 설명회로 유의미한 의견수렴이 가능하다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 구성원 대부분이 대학본부의 소통을 일방향적이라고 느끼는 이유다.

  큰 틀의 변화는 없다는 식의 태도도 바뀌어야 한다.‘ 2015년 학부 학사구조개편(광역화모집)’당시 대학본부는 정책을 일방적으로 내놓았다. 구성원들의 반발 속에서도 대학본부는 큰 틀의 변화는 없다는 기조를 유지했고 우여곡절 끝에 제도는 시행됐다. 결과적으로 해당 제도는 2개 단대를 제외하고 1년 만에 중단됐다. 당시의 갈등은 현재의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어떠한 정책이든 구성원의 지지가 있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 필요에 따라 큰 틀을 바꾸는 결단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