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지편집위원회(중앙문화와 녹지, 이하 교편위)’의 공간배정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교편위의 거취 문제는 ‘제도권’ 안에 들어와야 한다는 대학본부와 ‘편집권 침해’를 우려하는 교편위 사이에서 갈등의 간극을 좁히지 못하는 것이다.
 
  현재 205관(학생회관)과 206관(학생문화관)에 위치한 학생자치기구는 7월쯤 107관(교양학관) 이전을 논의하고 있다. 학생자치시설 이전이 끝나면 곧이어 205,206관 철거가 진행된다. 만약 그때까지 공간을 배정받지 못한다면 교편위는 말 그대로 불확실성 속에 놓인다.
 
  교편위와 대학본부 간 첨예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학생사회는 꾸준히 목소리를 내왔다. 지난해 11월 ‘서울캠 중앙운영위원회(중운위)’가 교편위의 공간배정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낸 이후로 전체학생대표자회의(전학대회) 등에서 교편위의 거취 문제는 계속 거론됐다. ‘교편위-중운위-대학본부 3자 협의체 구성’안은 이러한 맥락에서 나왔다. 교편위 단위에서 해결점을 찾기 어려워지자 학생대표자들이 함께 해결책을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이는 학생사회가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의 표명이다.
 
  하지만 3자 협의체 구성은 안타깝게도 진행이 더딘 상황이다. 3자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의결한 전학대회는 지난달 6일에 있었다. 두 달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도 협의체에 들어갈 인원만을 상의했을 뿐 이렇다 할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서울캠 총학생회는 당시 전학대회 주최로서 의결된 사안을 행동으로 옮길 책임이 있다. 곧 기말고사 기간이 시작되는 만큼 이제까지 미뤄왔던 3자 협의체 구성을 속히 실행해야 한다. 적어도 이번학기가 끝나기 전에 3자가 만나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지금 가장 적극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당사자는 대학본부다.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권한을 지녔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학본부는 방관자적 태도를 고수했다. 제도권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협상은 없다는 태도를 보인 것이다. 이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주체적인 모습을 보일 때다.
 
  ‘중앙문화’와 ‘녹지’에 공간을 배정하는 것은 단순히 동아리방을 보존해준다는 의미 그 이상이다. 지금 교편위가 원하는 것은 원래 보장받던 공간에 대한 ‘유지’다. 이는 이제까지 교지를 통해 학생들의 목소리를 대변한 교편위로서 정당한 요구다. 대학본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