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의 주된 사유는 ‘국회 등 헌법기관에 의한 견제나 언론에 의한 감시 장치가 제대로 작동될 수 없게’ 하였다는 것이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에 따라 권한을 행사하여야 함은 물론, 공무 수행은 투명하게 공개하여 국민의 평가를 받아야 하지만’ 그렇지 못했다. 오히려 사실을 은폐하고 부인하며 의혹 제기를 비난하기까지 했다. 최근 서울권 대학언론에서 불거지고 있는 언론탄압 문제도 이와 다르지 않다.

  지난 2월 19일 서울과기대에서 학생처와 학생회에 의해 학보가 강제 수거되는 일이 발생했다. 공대학생회 전 비대위원장의 횡령 사건을 신입생들에게 알리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이유였다. 언론을 탄압해 자신들의 잘못을 숨기려 한 것이다. 서울대에서는 독재정권에서나 있을 법한 검열과 편집권 침해가 있었다. 편집권 침해에 대한 기자단의 항의에도 해당 언론사 주간은 오히려 예산과 인사권을 휘두르며 기자들을 탄압했다. 두 사건 모두 지성의 상아탑, 대학에서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다. 해당 사건은 대학본부가 학생들에게 언론탄압과 비민주적 행태를 가르치는 행위로 교육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저버린 것이다.

  언론자유지수는 그 공동체가 얼마나 민주적인가를 나타낸다. 해당 대학이 언론탄압을 부끄럽게 여기고 반드시 개선해야 하는 이유다. 대학언론을 홍보기관으로 생각하는 일부 교직원의 생각과 태도도 바꿔야 한다. 올바르고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 역시 언론의 역할이지만 기본적으로 홍보는 홍보 담당 부서의 역할이다. 대학의 위상을 핑계로 편집권을 침해하는 것도 안 된다. 숨기고 감춘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으며 문제는 드러나야 고칠 수 있다. 대학의 위상을 걱정한다면 애초에 대학의 위상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

  최근 중앙대는 언론자유에서 발전적인 모습을 보여 왔다. 직제를 개정하면서 대학언론의 독립적인 지위를 보장하며 편집권도 존중하고 있다. 지난 2015년 3월 직제개편 당시 홍보실 산하에 있던 미디어센터와 홍보팀은 총장 직속 기구로 독립했다. 기획처는 이에 대해 대학언론의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미디어센터와 홍보팀이 아직 완전히 이원화되지 않았다. 미디어센터와 홍보팀은 현재 한 사무 공간에 있으며 일부 교직원은 두 직무를 병행하고 있다. 직제개편 당시 취지를 살리고 두 직무가 이해충돌의 가능성이 있는 만큼 두 기관은 완벽히 분리해야 한다.

  교지편집위원회(녹지, 중앙문화)의 공간 문제도 이른 시일 내에 해결해야 한다. 1967년 발간한 최초의 여성주의 교지, 녹지는 교지 발행, 캠페인, 강연회 등을 진행하며 학내 구성원의 성 의식을 향상시키고 있다. 진보언론을 표방하는 중앙문화는 1953년에 창간돼 학내의 건전한 담론 형성과 민주적 대학문화 창달에 힘쓰고 있다. 이렇듯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 학내언론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 교지편집위원회가 현재 206관(학생문화관) 철거 이후 갈 곳이 없는 상황이다. 교지편집위원회는 중앙대가 지켜야 할 가치이며 자산이다. 이제 대학본부는 그들을 인정하고 그 지위를 보장해줘야 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