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8%, ‘의견 무시당했다’
개인 번호로 전화해 폭언…
부적절한 언행 종류 다양해
대응방안 홍보 필요성 지적

지난 중대신문 제1860호에서는 일부 학생이 강의 중 교수로부터 부적절한 발언을 들어본 경험이 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당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총 140명 중 약 39.3% (55명)의 학생이 ‘강의 중 부적절한 언행을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중대신문에서는 그 이후 교수의 부적절한 언행의 실태가 개선됐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다시 한 번 돌아봤다. 설문조사는 지난 6일 하루 동안 온라인에서 진행됐으며 총 284명의 중앙대 학생이 설문에 답했다.

  무시당하는 학생들
  설문조사의 응답자 총 284명 중 약 37.3%(106명)의 응답자가 ‘강의 중 교수로부터 부적절한 언행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 설문조사의 약 39.3%와 비교해 단 2%p 줄어든 수치다. 교수의 부적절한 언행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이다.

  특히 ‘부적절한 언행의 내용은 무엇인가(중복응답)’에 대한 질문에 ‘명령조로 학생의 의견 무시’가 약 53.8%(57명)로 학생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부적절한 언행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의견을 무시하는 발언과 관련해 정수빈 학생(영어영문학과 3)은 “수업의 행정적인 부분과 관련해 양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교수님께서 무조건 안 된다며 호통을 치셨다”며 “거절을 하는 데 있어 필요 이상의 감정적 발언을 하셔서 굉장히 불쾌했다”고 말했다.

  부적절한 언행의 구체적 사례를 묻는 주관식 질문에는 총 76개의 답변 중 A 교수가 13번 언급되기도 했다. A 교수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언급된 내용은 ‘발표 자료와 관련한 작은 실수에 대해 전화를 걸어 화를 냈다’, ‘잘못이 없다는 증거를 제출했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발표를 못 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등이다.

  해당 강의를 수강 중인 차혜인 학생(가명)에 따르면 A 교수는 수업 중 ‘영어를 못 알아들으면 대답이라도 하든가’, ‘못 알아듣느냐 지능이 낮은 것이냐’, ‘내가 너희 비서냐’ 등의 발언을 하며 화를 냈다.

  또한 학생 개인 번호로 전화를 걸어 ‘과제 파일이 열리지 않는다’, ‘학번과 이름의 순서를 바꿔 썼다’, ‘메일에 편지 형식을 갖추지 않았다’ 등의 이유를 들며 다그치는 경우도 있었다. 차혜인 학생은 “A 교수님은 여전히 자신이 어떤 잘못을 했는지 모르고 계신 듯하다”며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매우 충격을 받은 상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학기 한 단대에서는 교수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강의 담당교수가 바뀌기도 했다. 해당 교수는 학생을 무시하는 발언과 함께 심각한 수준의 폭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강생들은 직접 탄원서와 경위서를 작성해 교학지원팀 등에 해결을 요구했다. 현재 해당 강의는 학생의 의견이 반영돼 담당교수가 교체된 상태다.

  다양한 사례 제시돼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부적절한 언행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발언’을 경험했다는 답은 응답자 총 106명 중 약 48.1%(51명)가 선택했다.

  응답자들은 직접 당하거나 목격한 각종 사례를 제시했다. 한 응답자는 교수가 ‘강의 시간에 여학생들의 외모를 지적해 수치심을 유발하고 기혼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폄하하는 발언을 했다’고 답했다.

  다른 응답자는 교수가 여성비하 발언을 한 후 성평등위원회에 신고하지 말라는 말을 했다고 밝혔다. 해당 응답자는 ‘교수는 단순한 지식 전달자가 아니며 성인이 된 인격체를 이끄는 존재라는 사실을 상기하길 바란다’는 의견을 더했다.

  그 뒤를 ‘비속어 등 폭언’과 ‘정치적 발언’이 각각 약 34.9%(37명), 약 31.1%(33명)로 이었다. 정치적 발언과 관련한 사례는 ‘전·현직 대통령을 옹호 또는 비하’, ‘중국인 학생에게 시진핑이나 모택동에 대한 비판 질문 요구’ 등이 제시됐다.

  대응방안은 ‘모르겠다’
  이외에도 ‘물리적 폭력’엔 약 8.5%(9명), ‘기타’엔 약 19.8%(21명)가 응답하며 학생들은 강의 중 교수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부적절한 언행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교수로부터 부적절한 언행을 당했을 경우 대응 방법을 알고 있는가’의 질문에 응답자 총 284명 중 약 95.1%(270명)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부적절한 언행으로 인권 침해를 당하더라도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대응 방법을 모른다고 답한 조수경 학생(가명·경영학부)은 “공식적인 대응을 하고 싶지만 방법을 몰라 쉽게 대처하지 못할 것 같다”며 “교수의 부적절한 언행을 경험했을 때 대응방안에 관한 학교 측의 홍보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