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의 가을은 무척 짧게 느껴진다. 학기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중간고사 기간이 끝나고 학기 말을 향해 가고 있다. 졸업을 앞둔 취업준비생들에게는 가을이 더욱 짧게 느껴지겠지. 언제부터인지 대학 캠퍼스가 취직을 위한 준비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3포세대, 7포세대 등 캠퍼스의 아픈 청춘들을 상징하는 다양한 어휘가 요즘 세태를 반영하고 있는 듯하다.

  반면 캠퍼스 밖은 화려한 1990년대를 추억하는 다양한 추억마케팅이 한창이다. 올림픽 이후 성장한 한국을 상징하는 X세대를 맞이한 대한민국의 1990년대는 화려했다. 재미있는 것은 지금 캠퍼스를 누비는 대부분의 청춘이 화려한 1990년대에 태어났다는 사실이다. 즉 지금의 청춘들은 비교적 풍족하게 한국의 성장혜택을 받으며 자랐다는 의미다. 그러나 지금의 청춘들은 풍요로운 시기에 성장해 청춘의 어려움을 더욱 큰 시련으로 느낀다고 말한다.

  아픔은 청춘의 특권이다. 다만 이러한 청춘의 아픔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가 문제일 것이다. 지금의 청춘이 풍요로운 성장환경에 익숙해져 청춘의 또 다른 특권인 ‘꿈’을 잊은 것은 아닐까? 청춘들에게 충분한 꿈의 미래를 기성세대들이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걸까? 지금의 청춘들에게 어떤 꿈을 어떻게 키워나가야 한다고 얘기할 수 있어야 하는데, 분명한 것은 이제 대한민국은 성장일변도의 사회가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 해결은 두 가지 방법밖에 없을 것 같다. 공급(대학졸업생)을 줄이거나 수요(다양한 일자리)를 늘리는 방법인데 공급을 줄이면서 동시에 수요를 늘릴 수 있으면 더욱 좋을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학생들이 원하는 일자리의 범위를 좀 더 폭넓게 설정하는 것이다. 실제로 학생취업 지도를 하다 보면 보내달라는 회사는 있어도 가겠다는 학생이 없는 경우가 흔히 있다. 아마 대기업, 일류대학 출신 등 항상 짜여진 가치에 순응하게 하는 사회의 문제를 바꾸지 않으면 청춘들에게 꿈만을 강조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 우리 청춘들은 사회적 가치에 도전하는 꿈을 먼저 배워야 한다.

  나는 또다시 청춘들의 꿈을 생각한다. 지금의 청춘들을 보면서 좀 더 다양한 인생의 꿈을 설계하라고 조언하고 싶다. 세상에는 자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가 존재하고 국내외를 막론하고 도전해볼 만한 분야가 많다. 우선은 우리가 오늘날의 청춘들에게 꿈을 심어줄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대학 캠퍼스에서 청춘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것은 기성세대인 교수들의 몫이다. 우리가 충분히 그 역할을 하고 있는가? 자문하고 반성하는 가을밤이다. 현실의 어려움이나 아픔은 꿈이라는 묘약으로 치유될 수 있다. 꿈은 열정으로 승화되기 때문이다. 성적, 취업률, 연구실적, 강의평가 등이 격하게 요구되고 있는 작금의 대학캠퍼스를 잠시 꺼두고 꿈을 잊은 청춘들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청춘 묘약’을 고민하면서 학기를 마감하고 싶다.

이정형 교수
건축학전공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