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강을 맞아 그동안 중대신문과 국내 신문을 읽으면서 느낀 단상을 연구자의 시각에서 적고자 한다. 그 시작은 “저널리즘(언론)의 ‘원칙’은 무엇인가?”에서 출발한다. 

 언론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와 함께 제4부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들 3부와 자본권력의 부정·부패를 감시하여 보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언론은 경찰·검찰과 같은 국가권력도 아니면서 사회 전반의 부조리와 사건·사고를 보도하면서, 건전한 사회발전에 기여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부분의 언론은 소유주나 주주를 가진 사적 기업이다. 하지만 사회구성원들은 이들 언론의 영리 추구보다는 공적 기능에 더 주목한다.

 우리 사회는 사적 언론기업의 공적인 역할 수행 덕분에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올바르게 기능할 수 있다. 정치가 자본권력을 견제하도록 권능을 부여받은 것이라면, 언론은 정치권력과 자본권력 모두를 감시하도록 사회로부터 권능을 부여받은 사적 소유의 ‘공적 기구’이다. 이는 학교와 매우 유사하다. 한국 내 대부분의 학교는 사적으로 소유되지만 인재 교육이라는 기능과 권능을 부여받은 ‘공적 기구’이다.

 사적 언론기업의 공적 임무 수행은 어떻게 가능한가? 이와 관련된 것이 바로 객관성, 공정성, 정확성과 같은 ‘저널리즘 원칙’이다. 객관보도, 공정보도의 가능성은 지속적인 논쟁의 대상이지만 적어도 이를 지키도록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한다는 데는 암묵적인 동의가 존재한다. 물론 사적 이익의 최대화가 제도화된 상황에서 원칙과 소신을 지킨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언론사에서 ‘원칙 무시의 일상화’, ‘비원칙의 원칙화’, ‘보수와 진보라는 정치적 진영논리에의 편협된 귀착’은 저널리즘의 붕괴를 초래한다.

 이미 국내 저널리즘은 ‘죽었다’라고 표현될 정도로 붕괴되어 있다. 우리는 이를 ‘세월호 참사 보도’에서 발견한 바 있다. 신속성에 중점을 둔 정확하지 않은 보도, 보도자료의 ‘받아쓰고 베끼기’에 천착한 언론보도, 사건보도에 정치적 진영논리를 개입시킨 언론보도는 많은 사람을 분노케 했다. 기자들도 자신들을 ‘기레기’라고 진단하기에 이르렀다. 기자들과 언론은 약 1년 반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했는가? 그 답은 정반대로 “더 독해졌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있다. 사회적 비판 속에서 자신들을 지켜내려고 독해졌다.

 붕괴된 언론시스템의 회복은 언론인 자신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사회의 ‘작은’ 부조리는 대서특필하면서 언론 내부의 큰 부조리와 잘못된 관행에는 눈을 감는 이중적 태도를 견지해서는 안 된다. ‘정론직필’하지 못하는 언론은 자본과 정치권력에 봉사하는 사회적 흉기에 불과할 뿐이다. 중대신문 기자들이 저널리즘 원칙에 충실한 훈련을 거쳐 사회로 진출하길 기대해본다. 중앙대 구성원들이 저널리즘의 원칙에 충실한 언론을 통해 사회의 올바른 질서와 희망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유홍식 교수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