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의 지금은 중앙대를 다닐 때보다 더 다양한 매체와 방법으로 중앙대에 대한 소식을 듣고 있다. 사실 대부분 유쾌한 소식들이 아니었다. 하지만 사안이 사안인 만큼 그래도 꼬박꼬박 챙겨봤고, 내게 소식을 전달하는 다양한 매체 중 하나는 중대신문이었다. 중앙대에 관한 이야기를 중앙대에서 발간하는 신문이 이야기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흥미롭다. 무엇보다 주간신문의 특성상 사건에 대한 보도가 한 박자 느릴 수밖에 없다는 점이 제일 눈길을 끈다. 예를 들어, 이번 주 수요일에 발생한 사건은 소문과 커뮤니티 등의 채널을 통해 일파만파로 퍼져 구성원들에게 알려진다. 중대신문은 그 사건을 다음주 월요일에야 지면을 통해 보도한다. 이 특성 때문에 중대신문은 사건 자체뿐만 아니라 추이까지 지켜보고 기사를 작성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하자면 중대신문의 기사는 ‘이미’ 알려진 내용이고 그 대부분은 시간이 꽤 지나 이미 학내에선 갑론을박이 진행된 것들이다.

  5월 18일(1847호)자 중대신문을 읽어보면, 인천캠이 무산되었다는 기사를 볼 수 있다. 인천캠 무산은 13일에 인천시와 맺은 협약이 종료되며 외부 언론들을 통해 일제히 보도됐다. 그렇게 때문에 내가 중대신문을 통해 읽고 싶었던 내용은 신캠퍼스가 무산된 사실 그 자체를 포함해 그간 이 사업이 어떻게 진행됐고, 중앙대는 성과를 내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했으며 앞으로 어떠한 대책이나 대안을 제시할지 등이었다. 그러나 해당 기사는 다소 특색이 없었다. ‘중앙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신캠퍼스추진단의 자료를 요약한 수준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색이 없다는 말은 오히려 기사로서 매우 잘 쓴 거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앞서 얘기대로 중대신문이 가지고 있는 주간신문으로서의 특수성에 기대어 보면 아쉽다. 신캠퍼스가 마치 ‘혼자한 조별과제’인 마냥 신캠퍼스추진단에서 설명하는 것만으로 그동안의 과정과 결과를 이야기하는 것은 해당 사안을 오히려 등한시하는 것은 아닐까? 
 
  기사 말미에 “중앙대 장기발전전략을 담당하는 기획처, 총장단 등 상부에서 지시가 내려와야 앞으로의 방향이 정해질 것”이라는 부분에서 약간의 불쾌함마저 느껴졌다. 동시에 중대신문이 교내의 언론으로서 추구해야 할 방향도 뜻밖에 찾아볼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사실을 바탕으로 한 ‘자기 비판’과 ‘자기 반성’이다. 몇 년을 끌어온 거대 사업이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되었는데 ‘상부’의 지시를 기다리는 안이함과 책임회피는 질타 받아야 마땅하다. 또한 대안은 상부가 제시하는 것이 아닌 우리 모두가 합의해서 만들어내야 하지 않은가? 
 
  사설에서 인천캠의 무산과 안성캠 활용의 미흡을 들어 캠퍼스 마스터플랜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긴 했지만, 주간신문의 특수성을 토대로 기사의 전반에서도 교내 신문으로서의 비판과 반성을 최대한으로 담아내길 바라는 바다.
 
전덕원 동문
국어국문학과 07학번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