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앙대를 둘러싼 언론 보도에 중대신문의 이름이 올랐다. ‘중대신문의 기본 논조는 학교를 대변해야 한다’며 ‘원칙에 반하는 편집 방향으로 1회라도 발행하면 폐간’이라는 박용성 전 이사장의 발언은 충격이었다. 미디어센터장이 박 전 이사장에게 보고한 내용도 드러났다. 원래 중대신문에 실릴 예정이던 한 교수의 비판적인 기고를 빼고, 구조조정 관련 기사를 다음 호로 미루게 했다는 것이다.
 
  먼저 학보사를 본부의 기관지로 대하는 태도에 화가 났다. 그리고 의문이 생겼다. 외부 언론의 기사에 해당 이메일 내용과 미디어센터장의 인터뷰는 있었지만 중대신문의 입장은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2주 만에 발행된 지난 호 사설에는 “편집권 관련한 중대신문의 입장”이 실렸다. 사설에서 중대신문은 ‘편집 원칙은 정론직필 하나’라며 ‘편집방향은 창간호부터 지금까지 학생기자가 주가 되어 만들어 왔다’고 밝혔다. ‘학생기자들이 세워 둔 원칙에 반하는 편집방향으로 신문이 만들어진다면 언제든 맞설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은 중앙대 학생으로서 반가웠다. 그러나 아직 오해가 풀리지 않았다. 구체적인 사실 관계에 대한 해명이 빠져있었기 때문이다.
 
  먼저 언론에 보도된 대로 본부가 학생기자들에게 비판적인 기고문을 싣지 말라고 ‘지시’한 사실이 있었는지 여부를 알고 싶다. 기고문을 빼고, 기획을 미루라는 지시가 일방적으로 이루어졌고 기자들이 거부할 수 없는 구조였다면 그 자체가 편집권 침해다.
 
  미디어센터장의 보고가 사실이라면 해당 기고문은 실리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중대신문은 센터장의 지시를 받아들인 경위에 대해서 밝혀야 한다. 편집부가 그 의견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해 자체적으로 수용했다면 문제는 없다. 물론 받아들이지 않아도 매체와 기자에게 아무 위해가 가지 않는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아쉬운 점은 중대신문을 기관지로 취급하고 제 멋대로 좌지우지 하려는 박용성 전  이사장과 대학본부에 대한 비판이 빠졌다는 것이다. 박 전 이사장의 말은 최초의 대학신문으로 시작해 근 70년 간 중앙대 학생들이 지켜온 중대신문에 대한 모욕이다. 매체의 존립을 위협하고 대외적으로 명예를 실추한 사람이 있다면 규탄해야 마땅하다.   
 
  중대신문은 지난 1842호의 ‘대학언론이라는 공유지의 비극’에서 ‘말을 해야 하는 언론에게 있어 온전히 편집권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것은 치명적이다’고 말했다. 중대신문의 가치를 믿고 지켜보는 독자의 입장에서 편집권 문제를 예민하게 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사설을 읽고도 오해의 시선을 거둘 수 없는 독자를 위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밝혀주길 바란다. 문제가 없다면 여지를 남기지 않으면 되고,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면 대학 구성원 모두가 함께 해결하면 될 일이다. 중대신문의 다음 행보를 기대한다.
 
안태진 학생
사회학과 3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