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는 위기다. 산 넘어 산이라고 하지만 중앙대는 한고비 넘기도 전에 다른 고비들과 마주했다. 첩첩산중에 빠져있는 형국이다. 기자는 왜 중앙대가 이렇게 흔들려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다.

  일단 중앙대를 흔드는 일련의 사건들을 차근차근 살펴보자. 지난 2월 26일 공개된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계획안)’이 신호탄이었다. 그 후, 중앙대는 계획안에 대해 찬반으로 나뉘는 갈등 양상을 보였다. 계획안에 반대하는 구성원들은 ‘교수대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학생 공동대책위원회’ 등을 꾸려 대학본부의 계획안 추진 방식이 일방적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찬성하는 구성원들은 중앙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의 골은 날이 갈수록 깊어져만 가고 있다.
 
  계획안에 대한 갈등이 채 해결되기도 전, 캠퍼스 밖에선 박범훈 전 총장의 비리 의혹이 불거졌다. 박범훈 전 총장이 받고 있는 혐의는 교과부와 국토부에 압력을 행사해 중앙대의 본·분교 통합과 적십자간호대학 통합, 교지 단일화 추진 등의 과정에서 특혜를 주고 두산으로부터 대가를 받았다는 것이다. 혐의 내용이 구체화 되면서 박범훈 전 총장은 지난달 30일 검찰에 소환됐으며 사전 구속영장도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 와중에 지난달 21일 박용성 전 이사장의 막말 논란이 발생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박용성 이사장이 비대위에 대한 조롱과 폭언, 계획안 반대 여론이 확산되는 것을 방해하라는 지시가 담긴 이메일을 보직교수와 재단 임원진에 보낸 사건이다.
 
  왜 이러한 사건들이 한 번에 터져버린 것일까? 3가지 사건을 유심히 들여다보면 그 저변엔 변화와 개혁이라는 큰 뿌리가 있다. 변화와 개혁이 도리어 중앙대에 악재로 돌아온 것이다. 중앙대가 그동안 변화와 개혁이라는 이름하에 너무 많은 것을 묵인했던 건 아닌가. 계획안의 경우 대학본부가 학사구조개편의 속도를 중시하다 보니 소통이 충분치 않았고 혐의 사실이 인정될 경우 박범훈 전 총장은 변화라는 명분하에 월권을 행사한 셈이다. 이번 박용성 전 이사장의 막말 논란 역시 계획안에 대한 갈등에서 비롯 됐으니 3가지 일 모두 중앙대의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중앙대는 이제 어떻게 산적해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갈까?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중앙대의 기본 정신인 ‘의에 죽고 참에 살자’에서부터 다시 시작하자. 이 사건의 책임자들은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그에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한다. 또한 새로운 변화의 중심엔 의혈의 정신이 담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대학의 역할’과 ‘시대적 변화’에 ‘의와 참’이라는 가치를 담아야 하지 않을까. 
 
  급변하는 시류에 너무 원론적 이야기라 기자의 외침이 공허하게 들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문제가 기본으로 돌아갔을 때 해결된다는 것은 일종의 진리에 가깝다. 모든 문제가 그렇듯 중앙대도 기본으로 돌아가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