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벌어진 사안을 친절하게 설명해 줄 기자 안지연입니다. ‘기자’라는 직책에 맞게 소위 ‘팩트’가 틀리지 않도록 사건의 정황을 신중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신뢰를 잃고 싶진 않으니까요. 서울캠 총학생회(총학)도 저와 비슷한 마음이었을 겁니다. 물론 지금 상황은 그렇지 않지만 말입니다.
 
 지난달 26일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계획안)’이 발표되면서 총학은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두 번에 걸쳐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 관련 상황 보고’의 제목으로 대자보를 게재했습니다. 각 계획안에 대한 자료 공개 요청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겠다는 것이 주요 골자였죠.

 그 후 약 일주일이 지나고 조용하던 총학이 입을 뗐습니다. 지난 11,12일 각각 계획안에 대해 전체 학생 찬반 투표를 실시하겠다는 공고문과 계획안 및 교수대표 비상위원회(비대위)의 성명서에 대한 입장 전문을 발표한 바 있었죠. 학생 사회는 서울캠 중앙운영위원회(중운위)의 의견수렴 없이 ‘총학생회’라는 이름으로 발표했다는 것과 총투표 전 계획안에 대한 입장을 밝혀 중립성이 결여됐다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며 크게 반발했습니다.

 이에 총학은 지난 16일 제12차 서울캠 중운위를 열어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 최종안(최종안)’이 발표된 후 총투표를 다시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보였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학칙이 개정될 즈음 곧 최종안이 나오지 않을까 예측했던 것이죠. 학칙 개정안과 같은 문서화된 자료가 있으면 그에 대해 다시 총투표를 진행하려 했던 겁니다.

 그리고 지난 25일 학칙 개정안이 공고됐습니다. 그러나 대학본부는 학칙 개정안이 최종안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김병기 기획처장(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은 “기본적인 틀은 이미 제시가 됐고 구체적 항목은 추후 만들어나가야 하는 상황이다”며 “최종안이 있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죠. 총학이 기다리는 최종안의 실체가 모호한 상황입니다. 총학은 최종안이 발표되면 총투표를 시행하겠다고는 했지만 최종안이 나오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서는 별다른 입장 표명이 없었습니다.  
  
 덧붙여 총학은 최종안 발표 전까지 대학본부·교수·학생이 대면할 수 있는 토론회와 간담회를 지속적으로 주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한웅규 서울캠 총학생회장(아동복지학과 4)은 지난주 중으로 대학본부·교수·학생이 참석하는 공개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라 했지만 토론회는 열리지 않았습니다. 사과대 학생회 주최의 ‘사과대 학교·학생·교수 구조조정 공청회’는 지난 16일에 열렸는데 말이죠. 총학 주최의 공청회는 왜 아직도 열리고 있지 않은지 의문만 듭니다. 

 이러한 가운데 사회학과 김재경 학생회장(3학년)의 제안으로 지난 18일 학생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가 발족했습니다. 학생들이 계획안에 대해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창구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인문대와 자연대, 사과대의 학과 학생회를 주축으로 구성됐죠. 공대위는 ‘중앙대 구조조정 공동대책위원회’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계획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 26일 교수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토론회에도 참석해 공대위를 꾸릴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주제발표를 진행했죠.   
                         
 최근 서울캠 주변을 둘러보면 총학보다 공대위의 움직임이 더 눈에 띕니다. 공대위는 해방광장에서 소통 캠페인을 벌이는 등 활동을 보이지만 25일 학칙 개정안이 공고된 이후에도 총학은 입을 열지 않고 있죠.
앞으로 서울캠 총학이 계속 구체적인 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 학생들의 신뢰를 얻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김대성 학생(국어국문학과 3)은 “학생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도 실시하지 않는 총학은 학생들의 의견을 제대로 대변하고 있지 못한다고 본다”며 “실수를 개선하려는 모습을 실제로 보여 줘야 총학에 대한 믿음을 되찾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그래서는 안 되겠지만 ‘팩트’가 틀리면 정정보도를 해서라도 무너진 신뢰를 회복해야 합니다. 가만히 있어서는 한 번 무너진 신용을 되찾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