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실적이 부진해 5년간 C등급을 받아온 교수 4명에게 정직 1개월 처분이 내려졌다. 교수의 업적 평가를 평가급 산정에 반영하는 것만으로도 파장이 일던 대학 사회에서 업적 평가를 징계 근거로 삼은 건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테뉴어 심사에 통과하면 65세까지 지위를 보장받던 교수 사회는 중앙대의 행보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논문 편수라는 정량적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면 학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숱한 반박도 이제는 힘을 잃고 있다. C등급 교수들이 넘지 못한 최소연구기준은 2년 단위 논문 등재 건수로 인문대는 한국연구재단 등재논문 2, 공대·의학(기초약학 분야는 SCI급 논문 1편이다. 이 역시도 의학(임상), 예체능트랙 7년차 이상의 정교수들에겐 1.4, 0.7편으로 기준이 낮아진다. 넘기 벅찬 기준이 결코 아니다.
 
  그렇기에 교수들의 철밥통 관행을 깨는데 크게 공헌했다는 치사(致詞)와 기업식 인사 시스템이 대학을 삼켰다는 비판에 흔들리지 않고 냉정하고 준엄하게 돌이켜봐야 할 점은 교수라는 지위의 무게와 책임이다. 한 사회의 맑은 지성과 양심으로 커갈 대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에게 후학들이 기대하던 건 불성실함에 대한 한탄과 회의감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금 시대의 거목으로 자리를 지켜온 교수들을 흔드는 건 울타리 너머로부터 불어온 돌풍이 아니라 마르고 갈라진 지반이다. 학문의 자유를 수호하고자 마련된 종신 임용권이 교수 일반에 대한 기대를 잃게 만들지는 않았는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지나가는 돌풍을 피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무너지고 갈라진 지반을 굳건히 다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