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일자 중대신문은 중요한 사건과 이슈들을 다뤘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시점에서 대학 캠퍼스도 각종 재난으로 안전하지 않다.
 
  우선, 화재 발생에 대한 기사를 보자. “309관 공사 현장서 화재발생...초기대응 빨랐다”라는 헤드라인의 1면 기사는 공사관계자들의 빠른 초기대응으로 인명피해가 없다는 점을 전달했다. 물론 가까운 연구동 건물에서 그 불길을 본 사람으로서 공감한다. 하지만, 최근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국내 재난과 참사들이 거의 모두 초동 대응력의 문제와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공공재난시스템의 부재에 기인한다는 점을 환기할 필요가 있었다. 재난의 발생이 대학캠퍼스도 예외는 아니라는 점을 고려할 때, 학교 내의 안전시스템과 경보장치, 그리고 부실공사 여부 등을 취재하는 기사도 고려했으면 한다. 
 
  다음으로 눈에 띄는 것은 “정년보장심사제도 공청회 어떤 이야기 오갔나”라는 3면 기사이다. 지난 3월 1일자로 개정된 정년보장제 시행세칙 중 Peer Review(동료평가제)의 운영과 평가에 대한 문제를 다룬 기사였다. 이 기사의 중요성을 볼 때, 보도 기사 외에 인터뷰나 진단 등의 논단기사가 부재했다. 심사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평가기준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여론수렴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운영방법 상 평교수나 학부장이 참여하는 ‘심사공정성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위원 선정의 공정성과 전공별 특수성을 심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있는가? 또한 기사의 내용처럼, 질적평가의 취지로 시작된 Peer Review의 합리적 평가를 위해서는 그 기준의 검토가 요구된다. 예컨대, 심사위원 5명 중 3명이 만점을 부여해도 나머지 2명이 각각 2점대의 평가를 낼 경우 즉시 정년보장이 유보된다는 것은 질적 수준을 고려한 처사가 아니다. 이미 양적 수준에서 연구실적을 충족시켰다면 질적심사는 단지 1, 2점의 개별 점수가 아니라 심사위원들의 의견들을 평균 수치화한 결과로서 측정되어야 한다. 학자가 학문적 입장을 개진할 때 다른 연구자들과의 대립각 없이, 현실 세계와의 불화 없이 온건한 처세를 취하는 입장이 과연 ‘질적 수준을 갖춘’ 태도인가?
 
  마지막으로 트렌드진단서의 “공정여행”에 관한 기사이다. 이제 학기말 시험만 치루면 여름방학이 시작된다. 공정여행은 ‘조금 더 겸손하게 조금 더 불편하게’라는 헤드라인이 말해주듯 자본의 논리나 유명 관광지의 전형성에서 벗어나는 여행이다. 티벳, 내몽골 같은 여행지를 가거나 오지 탐방을 하는 것도 한 예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공정여행의 방법에 대한 정보이다. 특히 여학생들의 공정여행을 위한 여행방법과 사례에 대한 추가 정보는 중요하다. 
 
  덧붙여 기자들이 아이템의 다양성을 꾀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에 감사드린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