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생회 분리된 1988년
비로소 학생자치 시작돼

등록금 9.4% 인상안 내놓자
13년 만에 학생총회 성사
 
 지난 9일 서울캠 전체학생대표자회의(전학대회)가 성사됐습니다. 낯선 일입니다. 2007년 1학기를 끝으로 볼 수 없었던 서울캠 전학대회가 지난학기에 이어 연속으로 성사됐기 때문입니다. 중앙대 학생자치의 역사는 어떤 길을 걸어왔기에 전학대회 성사 소식이 이토록 낯선 것일까요.
 
 총학생회 회칙(회칙)을 살펴보면 학생 관련 활동에 관해 의결권을 가지는 기구로는 학생총회, 전학대회, 확대운영위원회(확운위)가 있습니다. 학생총회는 ‘전체학생총회의’의 줄임말로 학생 활동에 대해 최고 의결권을 가지는 회의체입니다. 모든 학생이 동등하게 1인 1표를 행사할 수 있는 직접민주주의의 장이죠. 학생총회는 재학생 1/8 이상의 참석으로 개의하고 참석 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결의할 수 있습니다. 전학대회는 학생총회가 열리지 못할 경우, 확운위는 전학대회가 열리지 못할 경우 최고 결정권을 위임받아 활동하는 기구입니다. 
 
 전학대회는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된 대표자로 구성되며 각 학과의 학년대표까지 참석할 수 있습니다. 의결권을 가지는 기구 중 정기적으로 개최되도록 정해져 있는 유일한 기구이기도 하죠. 실질적으로는 학생총회 개최 이전에 전학대회를 열어 안건을 정하고 있으며, 학생총회가 열리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전학대회가 최고 의결기구의 역할을 해왔습니다.
 
 1988년 양캠에 독립적인 총학생회가 설립된 이후 학생총회는 그 성격이 바뀌고 전학대회는 당해 3월에 처음 열리게 되었습니다. 그 전의 학생총회는 지금처럼 학생들의 입장을 전달하는 회의기구가 아니었습니다. 학생들이 모여 정치·사회적 문제에 목소리를 내는 자리였죠. 특히 1965년 8월엔 한·일협정 무효화를 위한 성토대회 격으로 학생총회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총학생회가 양캠으로 분리된 이후 첫 학생총회는 1988년 4월 1일 서울캠에서 열렸습니다. 이날 학생총회에서는 학칙개정, 교과과정개정 등의 행정에 교수와 학생이 의견을 내는 ‘교수-학생협의회’와 당시 대학본부와 재단을 조사하는 ‘재단문제 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자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특이한 점은 학생총회에서 학생들의 의견에 따라 중간고사 일정을 정했다는 것입니다. 지금과는 달리 학생들의 자치권이 강했던 당시의 사회 분위기가 엿보입니다.
 
 처음의 전학대회는 지금과 달랐습니다. 총학생회 산하에 있는 각 부서들의 임원을 소개하거나 한 해의 활동방향 등을 보고하는 자리였죠. 예산 심의 기능과 학생회 감시 기능은 학문단위 대표자와 단과대 학생회장이 참여했던 ‘총대의원회’라는 기구에 있었는데, 이것이 폐지된 1990년대부터 전학대회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 후로는 학생총회나 전학대회가 성사됐다는 소식을 듣기가 힘듭니다. 90년대 들어 학생자치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사그라졌던 것일까요. 대학본부가 등록금 9.4% 인상안을 내놓은 2005년이 돼서야 서울캠 학생총회는 13년 만에, 전학대회는 9년 만에 성사됩니다. 그 후 또다시 잠잠하던 서울캠 학생총회와 전학대회는 구조조정과 국가장학금 2유형 탈락 등이 문제가 된 작년, 각각 7년, 6년 만에 성사됐습니다. 반면 안성캠 학생총회나 전학대회는 서울캠보다 자주 성사됐지만 학생들의 입장을 수렴하는 수준에 그친 적이 더 많았습니다.
 

 서울캠 전학대회 성사, 낯설지만 반가운 일입니다. 작년 양캠 모두에서 열린 학생총회에 이어서 말이죠. 이제 뒷심을 발휘할 때입니다. 작년 서울캠 학생총회에서 통과됐던 안건은 등록금 인하, 교육여건 개선, 학문단위 구조조정 및 신캠퍼스 관련 정보 공개 등입니다. 안성캠 또한 구조조정 과정의 부당함과 국가장학금 2유형 탈락에 대해 논의했죠. 그러나 해당 안건들은 지금까지도 행방이 묘연합니다. 올해만큼은 학생들의 요구가 다만 의결에 그치지 않고 현실화될 수 있도록 후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