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개인 신용정보 유출 사태로 온 나라가 한차례 큰 진통을 겪었다. 카드번호부터 유효기간까지 유출된 이번 사건으로, 국민들은 자신이 2차 피해의 당사자가 되는 게 아닐까 걱정하고 있다. 물론 비밀번호, CVC 값 등 카드결제 핵심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고, 2차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관련 기관들의 입장이 있었지만, 계속되는 개인정보 유출문제로 국민들은 여전히 개인정보 부정사용에 대한 우려가 큰 상태이다. 또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으로 스미싱, 피싱의 수법 또한 더욱 대담해지고, 지능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물론 개인정보유출은 화나고 어이없는 사건이지만, 이제는 카드사와 관련 당국에 대한 불신에만 안주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가 아닐까? 잇따르는 개인정보 유출 사건 사고에 대해 분노만 하기 보다는 나의 개인정보를 내가 얼마나 지킬 수 있는가 대해 고민해 보도록 하자. 금융감독원 대학생 기자단으로서 우리 학우들에게 개인정보 유출관련 체크사항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카드사에서는 신용카드 결제내역 SMS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신청하면 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결제내역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신용카드의 타인 부정 사용이 의심스럽다면 카드사 홈페이지나 콜센터 등을 통해 결제내역을 확인해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원할 경우에는 카드 비밀번호 변경은 물론이며 재발급이나 카드를 해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에 하나 정보유출로 인한 손해가 발생할 경우 전액 보상이 가능하다고 하니, 피해 내용이 있다면 즉시 홈페이지, 콜센터 또는 영업점 등에 신고하여 도움을 받을 것을 추천한다.
 
직접적인 피해보다도 피싱이나 스미싱과 같은 추가범죄는 특히나 개인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피해예방법이라고 해서 거창할 것은 없다. 사기의 종류를 아는 것만으로도 이미 절반은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보이스피싱은 전화를 통한 사기 방법이다. 흔히 금융회사 또는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하여 정보유출사고 등을 빙자하여 카드 비밀번호나, 본인인증코드(CVC)와 같은 금융거래정보 및 금전을 요구하는데 이 경우 절대 응해서는 안 된다. 파밍은 금융기관 홈페이지 등에 정상적으로 접근한다고 해도 피싱사이트로 유도하여 금융정보 등을 가로채는 사기수법이다. 특히나 보안강화, 예금보호 등을 가장한 문자나 팝업창에 주의를 해야 한다. 파밍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악성코드 탐지 및 제거 등 PC보안점검을 생활화하여야 한다. 전자금융거래를 이용할 때에는 보안카드보다 안전성이 높은 보안매체(OTP)를 이용하는 것이 좋고, 거래은행 홈페이지에서 전자금융사기 예방서비스에 반드시 가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무료 쿠폰’, ‘모바일 청첩장등의 사기문자를 보내 클릭을 유도하여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요즘에는 개인정보유출로 인한 보안 강화’,’예금보호등 이번 개인정보유출사고와 관련된 것처럼 속인 SMS에 특히 주의를 해야 한다. 카드사는 어떤 상황에서도 SMS를 통해 정보유출 관련 안내를 하지 않는다.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의 인터넷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것이 좋다.
 
주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혹시나 피해가 발생했다면, 당황하지 말고 경찰청(112)이나 금융감독원(1332) 또는 금융회사에 즉시 지급정지를 요청하자! 또한 신종 범죄수법을 발견할 경우 금융감독원으로 제보하여 사전에 피해를 차단하는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미 엎질러진 물만을 바라보기만 하는 것은 자신에게 아무 도움도 줄 수 없다. 깨진 독은 제대로 고치기 위해 관련 기관들이 노력하고 있다고 하니, 우리는 나름대로 엎질러진 물에 젖지 않도록 자신을 지켜보는 것은 어떨까.
박혜정 학생
경영학부 4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